21. 원인 없는 결과는 없다 <明心名句21> 원인 없는 결과는 없다 父不憂心因子孝요 夫無煩惱是妻賢이라 言多語失皆因酒요 親疎只爲錢이니라(省心篇 上) <아버지가 근심하지 않는 것은 자식이 효도하는 까닭이요, 남편에게 괴로움이 없는 것은 어진 아내가 있기 때문이요, 말이 많아 말실수 하는 것은 모두가 .. 한문학숙(漢文學塾)/명심명구이야기 2013.07.01
20. 돈보다 먼저 자식교육이다 <明心名句20> 돈보다 먼저 자식교육이다 ·漢書云 黃金滿籝이 不如敎子一經이요 賜子千金이 不如敎子一藝니라 <한서에 말했다. 황금이 대바구니에 가득해도 자식에게 한 줄의 경서를 가르치는 것 만 못하고, 자식에게 많은 돈을 주는 것은 한 가지 기술을 가르치는 것만 못하.. 한문학숙(漢文學塾)/명심명구이야기 2013.06.19
19. 잡초같이 살지 마라 <明心名句19> 잡초같이 살지 마라 徽宗皇帝曰 學者는 如禾如稻하고 不學者는 如蒿如草로다 如禾如稻兮여 國之精糧이요 世之大寶로다 如蒿如草兮여 耕者憎嫌하고 鋤者煩惱니라 他日面墻에 悔之已老로다(勤學篇) <휘종황제가 말하기를, 배우는 자는 쌀알 같고 벼 같고, 배우지 아.. 한문학숙(漢文學塾)/명심명구이야기 2013.06.07
18. 배워야 세상이 보인다 <明心名句18> 배워야 세상이 보인다 莊子曰 人之不學은 如登天而無術하고 學而智遠이면 如披祥雲而覩靑天하고 登高山而望四海니라(勤學篇) <장자가 말하기를 “사람이 배우지 않는 것은 마치 기술도 없이 하늘에 오르려는 것과 같고, 배워서 지혜가 깊고 넓어지는 것은 마치 아름.. 한문학숙(漢文學塾)/명심명구이야기 2013.05.23
17. 참아야 산다 <明心名句17> 참아야 산다 子張曰 不忍則如何닛고 子曰 天子不忍이면 國空虛하고 諸侯不忍이면 喪其軀하고 官吏不忍이면 刑法誅하고 兄弟不忍이면 各分居하고 夫妻不忍이면 令子孤하고 朋友不忍이면 情意疎하고 自身不忍이면 患不除니라 (戒性篇) <자장이 다시 묻기를 참지 않.. 한문학숙(漢文學塾)/명심명구이야기 2013.05.11
16. 시비논쟁은 모두 헛것이다 <明心名句16> 시비논쟁은 모두 헛것이다 愚濁生嗔怒는 皆因理不通이라 休添心上火하고 只作耳邊風하라 長短은 家家有요 炎涼은 處處同이라 是非無實相하여 究竟摠成空이니라 (戒性篇) <어리석고 정신이 맑지 못한 사람이 성을 내는 것은 모두 이치가 통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한문학숙(漢文學塾)/명심명구이야기 2013.04.29
15. 남을 꾸짖듯이 자기를 꾸짖어라 <明心名句15> 남을 꾸짖듯이 자기를 꾸짖어라 以愛妻子之心으로 事親이면 則曲盡其孝요 以保富貴之心으로 奉君이면 則無往不忠이요 以責人之心으로 責己면 則寡過요 以恕己之心으로 恕人이면 則全交니라(存心篇) <아내와 자식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어버이를 섬긴다면 더 할 나.. 한문학숙(漢文學塾)/명심명구이야기 2013.04.20
14. 여섯 가지 후회할 일을 하지마라 <明心名句14> 여섯 가지 후회할 일을 하지마라 寇萊公六悔銘에 云하대 官行私曲失時悔요 富不儉用貧時悔요 藝不少學過時悔요 見事不學用時悔요 醉後狂言醒時悔요 安不將息病時悔니라(存心篇) <구래공이 육회명에서 말하였다. 관리가 사사롭고 그릇된 일을 행하면 (그 자리를) 잃.. 한문학숙(漢文學塾)/명심명구이야기 2013.04.01
13. 베풀었으면 잊어라 <明心名句13> 베풀었으면 잊어라 素書云 薄施厚望者는 不報하고 貴而忘賤者는 不久니라 (存心篇) <소서에 이르기를 “적게 베풀고 많이 받기를 바라는 사람은 보답을 받지 못하고, 귀하게 된 뒤에 비천했던 때를 잊는 사람은 오래가지 못하느니라.”하였다.> 施恩이어든 勿求報.. 한문학숙(漢文學塾)/명심명구이야기 2013.03.19
12. 나는 항상 부족한 사람이다 <明心名句12>나는 항상 부족한 사람이다 子曰 聰明思睿라도 守之以愚하고 功被天下라도 守之以讓하고 勇力振世라도 守之以怯하고 富有四海라도 守之以謙이니라(存心篇)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총명하고 지혜롭더라도 어리석음을 지니고, 공적이 세상에 가득해도 겸양을 지니.. 한문학숙(漢文學塾)/명심명구이야기 2013.0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