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봉요(蜂腰), 학슬(鶴膝), 고평(孤平) ◆고평(孤平) 고측(孤仄)과 봉요(蜂腰) 학슬(鶴膝) 오언절구는 제1구의 두번째 자가 孤平, 孤仄이 되면 범칙(犯則)이다. 칠언시에서는 絶句나 律詩나 매 韻行마다 4번째 자가 고평이나 고측이 되면 犯則이다. 고평(孤平) : 측성들 사이에 평성이 외롭게 끼여 있으면 안된다(犯則) 봉요(蜂腰) : 매구의 가운데 글자(네번째)기 홀로 낮으면 안된다(犯則) 학슬(鶴膝) : 매구의 가운데 글자(네번째)기 홀로 높으면 안된다( 犯則) 한문학숙(漢文學塾)/漢詩기초자료 2024.08.21
3. 漢詩 詩語 資料(한시시어자료) 漢詩 詩語 資料 1.평상어*肉氣.骨氣*神韻신운←예술작품은 사람의정신의 운률을 감동시킴.神明.*파사현정 破邪顯正:사견이나 사도를 깨어 버리고 정도를 나타냄*淸福청복:좋은복*聲言待성언대:공연히 소문내다*狼狽낭패:이리와 狽패 (붙어야 이동가능한 토끼와 비슷한 상상의 동물)*屛跡병적:자취를 감추고*金繩鐵索금승철삭:쇠줄과 쇠동아줄*威儀위의:행동*조라蔦蘿;담쟁이조.쑥라→寄生草*旨酒지주→美酒미주:맛있는 술*碩女석녀:덕높은여자*豈弟개제:용모다정,화평한.어찌기 愷=豈:편안할개*託辭탁사:핑개대는 말*不待月부대월:한 달이 못되서*遁去둔거:도망치다*良可양가:~할만하다.*稱託칭탁:핑계를 댐.託辭탁사:핑개대는말.*聲色성색:목소리와 얼굴색*髦士모사=俊士준사:준걸한 선비 *士女사녀:남녀 *世誼세의: 대대로 오래 사귀어 친해진 .. 한문학숙(漢文學塾)/漢詩기초자료 2024.0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