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時間과 數 時間과 數 時間의 의미 부여 * 인식 주관에 의해 형성된 관념을 가지고 특정한 존재 사물의 움직임과 변화에 대하여 생한다. * 칠식이 인연이라는 작용으로 팔식의 아리야식(장식)에 간직된 原始印象을 끄집어 내서 동일한 존재자의 現在印象과 변화된 모습을 읽어 낸다. 劫 범천의 1일이 .. 불교(佛敎)/불교용어 2013.08.18
10. 五眼 五眼 肉眼 肉體에 있는 눈. 迷한 마음을 없애는 것. 天眼 신의 눈. 佛性이 있어 憐愍의 마음을 느끼는 것. 慧眼 진리만을 밝게 바라 볼 수 있는 지혜의 눈. 어리석은 마음이 안 남. 法眼 현상계의 형체를 넘어서서 法을 직시하는 눈. 법에 집착한 마음을 없앰. 佛眼 모든 법(인식현상)의 진상.. 불교(佛敎)/불교용어 2013.08.18
9. 三明六神通 三明六神通 1.天眼通 하늘의 눈, 하나의 마음체인 和氣의 눈, 거리가 없고 시간이 없으며 어느 곳이든 순간에 볼 수 있다. 대각자만 이룰 수 있고 일체 자기가 없어야함. 2.天耳通 하늘의 말(진리), 즉 우주의 말을 들을 수 있다. 진리에 대한 어떤 물음에도 하늘이 항상 대답하므로 이를 들.. 불교(佛敎)/불교용어 2013.08.18
8. 三界 三界 (생사윤회)→극락정토:대해탈(부처님) 無色界 (정신적인 면만 존재.) 4천 비상비비상처천 4 미세한 분별심 무소유처천 식무변처천 공무변처천 色界 (희미하게 보이는 몸) 사선천 9천 색구경천 오정거천-1(5) 미세한 번뇌있음 선견천 선현천 무열천 무번천 무상천 1 광과천 1 복생천 무.. 불교(佛敎)/불교용어 2013.08.18
7. 三業과 十惡 三業과 十惡 1. 三業 身→3(殺生, 偸盜, 邪淫)→思已業(사이업:생각을 이미 마친 업) 口→4(妄語, 綺語, 兩舌, 惡口)→思已業 意→3(貪愛, 瞋恚, 痴暗)→思業 2. 十惡 → 十善 身業 1. 殺生(살생) → 1. 放生 2. 偸盜(도둑질) → 2. 勤勉 3. 邪淫(사음) → 3. 正淫 口業 4. 妄語(거짓말) → 4. 正語 5... 불교(佛敎)/불교용어 2013.08.18
6. 五淨肉과 五辛采 五淨肉과 五辛采 五 淨 肉 1. 不見殺肉 → 죽는 모습을 보지 않은 고기 2. 不聞殺肉 → 죽는 소리를 듣지 않은 고기 3. 不爲我殺肉 → 나를 위해서 죽은 고기가 아닌 것 4. 自死肉 → 스스로 죽은 고기 5. 自殘肉 → 먹다가 남은 고기 五 辛 采 * 절 음식 금기 식물 마늘, 파, 부추, 달래, 홍거 * .. 불교(佛敎)/불교용어 2013.08.18
5. 12緣起 12緣起(因緣生起) 空間的 考察→此有故彼有 1. 老死 → 老死憂悲苦惱---衆生苦 2. 生 → 중생의 출발점---生老病師 3. 有 → 집착에 얽매인 범부의 생존---生은 有 속에 포함됨 4. 取 → 그릇된 집착---有는 그릇된 집착으로 말미암음 欲取(五欲境의 집착), 見取(그릇된 견해,사상,학설의 고집) .. 불교(佛敎)/불교용어 2013.08.18
4. 六波羅蜜 六波羅蜜 1. 布 施 波羅蜜 1. 財布施 재물로 보시함. * 三輪淸淨 : 베푸는이, 받는이, 물건이 청정해야함. * 無住相布施 2. 法布施 부처님의 말씀(경전)을 보시함. 3. 無畏財布施 1) 眼施 : 부드러운 눈 2) 和顔施 : 밝은 얼굴 3) 言施 : 좋은 말 4) 身施 : 예의 바르게 대하기 5) 心施 : 착한 마음 6) .. 불교(佛敎)/불교용어 2013.08.18
3. 五濁惡世 五濁惡世 1. 命濁 * 인간 수명이 줄어드는 것 2.煩惱濁 * 五鈍使(貪, 瞋, 痴, 慢, 疑)로 마음이 항상 바르지 못하고 잡된 것 3.衆生濁 * 번뇌로 인하여 바르지 못하고 항상 비정상적인 마음 상태 4. 見濁 * 바르고 건전하지 못한 사고의 난무로 갖가지 견해로 인해 헤어나지 못하는 것 5. 劫濁 * .. 불교(佛敎)/불교용어 2013.08.18
2. 四天王 四天王(묘법연화경) 1.持國天王 동방 수호신 * 오른손에 칼, 왼손은 허리를 짚고 있으나 보석을 손바닥 위에 올려놓고 있는 형상임. 2.廣目天王 서방 수호신. * 죄인에게 벌을 내려 고통을 느끼게 하는 가운데 道心을 일으키도록 한다. 오른손에 창, 왼손에 보탑. 3.增長天王 남방 수호신 * .. 불교(佛敎)/불교용어 2013.08.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