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문학숙(漢文學塾)/국어상식 6

6.두음법칙(頭音法則)

♠ 두음법칙(頭音法則) 어떤 소리가 단어의 첫머리나 음절의 첫소리에서 발음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다른 소리로 바꾸어 발음하는 것을 말한다.(한글맞춤법 제3장 제5절 참조) (1)ㄹ(리을)두음 법칙은 단어의 첫소리에 ‘ㄹ’이 올 수 없는 음운 법칙이다. 즉 'ㅣ, ㅑ, ㅕ, ㅛ, ㅠ'가 'ㄹ' 뒤에 올 때 ‘ㅇ’으로 바뀌게 된다(량심→양심). 'ㅏ, ㅓ, ㅗ, ㅜ, ㅐ, ㅔ, ㅡ, ㅚ’뒤에 올 때는 ‘ㄹ’이 ‘ㄴ’으로 바뀌게 된다(로동→노동). (2)ㄴ(니은) 두음 법칙은 단어의 첫소리에 ‘ㄴ’이 올 수 없는 음운 법칙이다. 즉 ‘ㅣ, ㅑ, ㅕ, ㅛ, ㅠ’ 앞에서 ‘ㄴ’이 ‘ㅇ’으로 바뀌게 된다(녀자→여자. 년세→연세) ▶한글맞춤법 제3장 제5절 두음법칙 한자음 '녀, 뇨, 뉴, 니'가 단어 첫머리에 올 ..

5.활음조 현상(滑音調現象)

5.활음조 현상(滑音調現象) • 두 음소가 연달아 소리 날 때 어떤 음운이 탈락, 추가, 혹은 변형되어서 말을 좀 더 매끄럽게 만드는 음의 특질을 말한다. • 한글 맞춤법 제 6장 52항에는 한자어에서 본음으로도 나고 속음으로도 나는 것은 각각 그 소리에 따라 적는다. 발음을 쉽게 하기 위해 원래 이름과 다르게 읽는 경우는도 표준어로 하고있다. ▶ 예문 契丹계단→거란. 牧丹목단→모란 十月십월→시월. 六月육월→유윌. 날는(날다)→나는(나르는x) 果實과실→과일. 盟誓맹서→맹세. 木果목과→모과. 論難논난→논란. 大怒대노→대로. 南無阿彌陀佛→나무아미타불. 지이산(智異山)'→지리산 한나산(漢拏山)'→한라산 등이다.

4.잘 틀리는 말 용법

4.잘 틀리는 말 용법 ▶안과 않의 용법 안'은 용언 위에 붙어 부정 또는 반대의 뜻을 나타내는 부사 '아니'의 준말이고, '않-'은 동사나 형용사 아래에 붙어 부정의 뜻을 더하는 보조용언 '아니하-'의 준말입니다. (1) ㄱ. 철수가 밥을 안 먹는다. ㄴ. 양복에 고무신은 서로 안 어울린다. (2) ㄱ. 철수가 밥을 먹지 않았다. ㄴ. 영희는 놀지 않고 공부만 한다. ▶ '되'와 '돼'의 용법 '시간 돼?', '그렇게 하면 돼.'와 같이 적습니다. '되-'는 '되다'의 어간인데, 용언의 어간이 홀로 쓰일 수는 없습니다. 어간 '되-' 뒤에 어미 '-어'가 붙으면, '되어'와 같이 활용하며, 이것이 줄면 '돼'의 형태가 됩니다. 그리고 '일, 현상, 물건 따위가 좋게 이루어지지 않다.'의 뜻을 나타내는 ..

3.국어문법

3.국어문법 ◈文의 生成 過程 音韻(子音,母音)→音節(字)→形態素(語幹,語尾,接辭,助詞)→單語(品詞)→語節(뛰어쓰기)→句 (複數語節)/節(主述關係)→文章→文段(段落)→文(序本結/起承轉結) ◈文章成分 및 略號 1.主語 S = Subject 2.述語 P=Predicate Verb 3.目的語 O= Object 4.補語 C=Complement →(되다.아니다) 앞에 (이/가)가 붙는 말만 보어다라 5.冠形語 D= Determinative 6.副詞語 A= Adverb 7.獨立語 I= Independent ◈ 韓國語의 5言 9品詞(문장내의 기능에 따라 5언)(의미에 따라 9품사) 1. 체언(體言, 임자씨) ①명사(名詞, 이름씨) ②대명사(代名詞, 대이름씨) ③수사(數詞, 셈씨): *基數詞(=量詞):1,하나,일 *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