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문학숙(漢文學塾)/漢詩기초자료

3. 漢詩 詩語 資料(한시시어자료)

주비세상 2024. 1. 12. 17:41

漢詩 詩語 資料 

 

 1.평상어

*肉氣.骨氣
*神韻신운←예술작품은 사람의정신의 운률을 감동시킴.神明.
*파사현정 破邪顯正:사견이나 사도를 깨어 버리고 정도를 나타냄
*淸福청복:좋은복
*聲言待성언대:공연히 소문내다
*狼狽낭패:이리와 狽패 (붙어야 이동가능한 토끼와 비슷한 상상의 동물)
*屛跡병적:자취를 감추고
*金繩鐵索금승철삭:쇠줄과 쇠동아줄
*威儀위의:행동
*조라蔦蘿;담쟁이조.쑥라→寄生草
*旨酒지주→美酒미주:맛있는 술
*碩女석녀:덕높은여자
*豈弟개제:용모다정,화평한.어찌기
  愷=豈:편안할개
*託辭탁사:핑개대는 말
*不待月부대월:한 달이 못되서
*遁去둔거:도망치다
*良可양가:~할만하다.
*稱託칭탁:핑계를 댐.託辭탁사:핑개대는말.
*聲色성색:목소리와 얼굴색

*髦士모사=俊士준사:준걸한 선비
*士女사녀:남녀

*世誼세의: 대대로 오래 사귀어 친해진 정

*閑愁한수:쓸데없는근심

*發憤발분:큰 마음 먹다

*正濃정농.지금.한창이다.무루익다.깊다.앗이좋다.짙다

*厥也궐야: 그 사람, 厥公 그 분.厥女 그 여자.厥地궐지:그 땅

*良朋양붕=良友양우:좋은 친구

*驛使역사:우체부

*僉位첨위여러분. 僉宗첨종.僉議첨의.僉兄첨형

*山日:산에서의 나날

*江日:강에서의 나날

*定是:틀림없이

*현학적 衒學的:자기학문 자랑

*몽니:욕심부리는 성질. 심술.

*竹帛죽백 :죽백은 옛날 종이가 없을 때 글을 쓰던 죽간과 비단으로 歷史를 의미함. 靑史.

* 君子好遯 군자호둔:군자는 물러날 때 물러날줄안다.

*乘龍스룡:훌륭한 사위를 보다.

*婦翁부옹:장인인 나. 편지글 따위에서 사위에 대하여 스스로를 가리킬 때 씀

*恭賀공하:공손히 하례함.

*扶植부식:바로세움

*彝倫이윤:떳떳할이.윤리륜.

*淸談청담高談峻論고담준론:속되지 않은 고상한 이야기. 남이 하는 이야기를 높여 이르는 말

*餞送 전별하여 보냄

*巨擘거벽:큰 엄지손가락(엄지벽)

奎擘규벽:최고의 뜻

*幽光유광:숨은 사람의 빛

*比目비목:외눈박이

*傾命경명:늙어서 앞으로 살날이 적음

*地衣지의:땅의 사물

*初日초일:아침 해

*鬱鬱不肯울울불긍:우울하여 내키지않다

*幽谷奠居유곡전거:조용한 곳에 거처를 정함

*睡美수미:단잠자다.

*蹇驢건려:절뚝발이 당나귀

*微軀미구:자기몸의 겸칭

*龍鐘롱종:늙어쓸모없는 사람의 겸칭

*行下행하~樂工,妓女에게 품싹이외주는돈이나 비단띠(纏頭전두). 지금의 봉사료나 팁.

*嘔啞구아~난잡한 소리.

*啁哳조찰:저속한 소리.(=조 비웃을 조)

*善才선재:비파 선생님(曹保의 아들 이름)

*柴地시지:나라에서 정한 사찰 땔감 채취구역표시.

*却立각립:뒤로 물러섬

*末契말계:변볜찮은친구.친구에게 자신을 낮추는 말.

*攘臂양비소매를 걷어올림.

*寄謝기사말을 전하다

*素手소수:맨손.고운손

*袒跣단선:웃옷벗고 맨발.跣行선행.

跣足선족=徒跣도선:맨발

*復除복제:부역면제하고 돌려보냄.

*蕭牆之亂소장지난.蕭墻소장:내부.병풍 사이의 변. 내부의 변란.형제 간의 싸움.

*磊落뇌락-많다.복잡하다.용모가 준수하다

*神駿신준-뛰어난재주

*相間상간;서로 끼워넣다

*浮江부강:배타고

*마굿간. 솟을대문

*궁녀.婕妤첩여(女官3). 才人(女官3)

*霹靂벽력:벼락

*貴戚귀척:임금의 인척

*神僧신승:신통력있는 중

*枉殺왕살헛되이죽다.

*棄市기시죄인시신을 길거리에 버리는 형벌.

*搖落時요락시잎 떨어 질 때

*飄泊표박:방랑하다.

*流落유락:타향살이.유랑.零落

*依俙憶의희억:어렵풋이 생각하다.

*親姻친혼婚姻혼인

*搔首소수머리를 긁적이네

*怊愴초창 서글퍼서.

*何殊하수어찌 다른가 ? 何殊虎어찌범과다른가

<이름>

* 綽號작호 =綽名작명=雅號=別號

*小字:저의 자.어릴 때의 이름.작은 글자

 

<度量衡單位>

*座좌:산.성루등의 量辭

*=(64).

* ():10말의용량

 

2. 지역, 장소

 

*斗南()두남전세계.북두성의 남쪽

*우리나라槿域.吾東.海東.

*永鄕영향:영천의 고을.安鄕안향:안동고을

*洞壑동학:金烏洞壑금오동학~금오골짜기.

<장소>

*何在ov.何存oo~어디 있는가? 何處. 哪里나리~어느 곳에

*~마구간구. 馬廄間.

*基切기절묘의 앞 제관이 서는 곳.

*靑樓청루기생집

 

3.공직청렴의 단어

 

*伯夷節백이절 (貞節):*夷齊伯夷(백이) 叔齊(숙제). 採薇歌(채미가)부름.

*嚴子休엄자휴:엄자정의 대의(大義)

*夷齊淸節이제청절:백이와 숙제의 청절.

*楊震四知양진사지:天知.神知.我知.自知.

*劉備三顧유비삼고:유비가 재갈량을 세 번 찾아감

*時苗留犢시묘류독:시묘의 송아지 두고감

*羊續懸魚양속현어:양속이 받은생선 둠.

* 樗櫟之材저력지재:참나무와 가죽나무의 재목. 쓸데없는 물건이나 무능한 사람. 자기의 겸칭

*甕牖繩樞옹유승추:옹기로 들창을 내고 새끼줄문지도리로 한 가난한 집.

*儋石之儲담석지저:한두 섬의 저축이라는 뜻으로, 변변하지 못한 저축

*白屋백옥초가집

*逸士일사:숨어 사는 선비.

 

4.사람의 높임말(이름직접못씀)

 

*삼가.공경.업드려.공경→謹.伏.敬.愼.奉(敬韻=次韻)

*長(成人의 존칭.대표자.~선생).丈(노인의 존칭.~어른)태公

*皇과 后를 존칭어로다 사용  →皇天황천, 后土후토

*先生....長

*野翁,野老:시골노인. 翁老노인들. 退翁퇴계(이황). 一老일두(정여창).

*내외간琴絃

*형제간棣華체화.壎箎훈지

*翳屬예속깃일산예, 諸兄형제들.가림막무리

*高堂고당남의 집 남자 주인. 萱堂훤당남의 어머니

*吾儕오제우리함께.모두. 등배 제

*보.父보 → 甫(클보). 父(남자미칭보)  뒤에 붙이는 미칭. ~. ~어르신. 聲茂甫. 자기와 타에 공동사용.商父(상보:姜太公望 씨)

 

5.추모단어

 

*羹墻갱장~웃어른을 추모.

 

6.충효절단어

 

*愛日애일:날이 감을 아깝게 여김. 부모 늙음 한탄. 효심(事親愛日)

*良臣양신:어진신하.(憂國良臣)

*晨省신성:昏定晨省의 략.兩親晨省

*盡忠진충: 충성을 다함. 忠似張翁 (張巡장순) 節如顔老(顔杲안고)

 

7.태어남.장수.늙음.病

8血痢혈리:혈변. 痢설사 리

*壽考수고=長壽장수

*綠髮朱顔녹발주안.綠鬢紅顔녹빈홍안 :윤이 나는 검은 머리와 고운 얼굴의 뜻

*誕辰탄신:위인의 태어남

*嶽降악강:위인보다 낮은분 태어남.

*出生출생:평민의 남.

*弧晨호신:사내아이 태어난 때(활을 문 위에 걸었음).弧日호일

*장자소요유대춘(大椿)이라는 전설의 나무가 참죽나무.대춘이라는 나무는 팔천 년을 봄으로 삼고 팔천 년을 가을로 삼았다'는 장수(長壽)의 상징.춘부장(椿府丈)유래. (椿) 나무가 심어진 집을 춘당(椿堂춘정(椿庭).

 

8.藝術.악기

*거문고술대 →연주 막대

*가야금골무 →손가락끝에 끼움

*竭力갈력. 殫誠탄성.

*才華재화뛰어난 재주나 재능

*蘊蓄온축오래도록 연구하여 학문이나 지식을 많이 쌓음

*丹靑단청:畵工화공

 

9.성현의 칭

 

*元聖원성.先賢선현.聖言성언

 

10.儒學用語

 

*斯門사문.儒林유림=士林사림.詞林사림(시인모임).

*性理성리:유교학문

*人紀인기:人倫

*儒林유림:선비로 실권소유한 자

*山林산림:현실을 떠나 비판하는 자

 

11.학문노력

*攻夫공부:연구하다. 

*琢磨性理탁마성리:유학을 갈고닦아.

*藏修장수:학문연구

*盲龜浮木 맹귀부목 (盲龜遇木 맹귀우목):매우 불가능한 일

* 灑書曝衣쇄서폭의:칠석날 장마로 눅눅해진 책이나 옷가지를 볕에 내다 말리는 풍습

*金榜금방:과거급제자 명단.

*下第하제:과거낙방

*靑雲청운 雲路운로 꿈.벼슬.출세.

 

12.俗世 風俗.농사

 

*井田法→9百畝←公田百畝+八家各百畝→一家百畝
畝묘:백평. 十井一通(千畝) 十通一成(萬畝=十千→地方十里)
*有年=豊年
*無年=凶年
*稼穡가색=農事농사

*俗塵속진. 俗愁속수 : 세속의 일

*門排문배, 歲畵세화문배는 辟邪(벽사)를 위해 문에 붙이는 처용.角鬼(각귀)..호랑이 등의 門排圖나 금줄.팥죽뿌리기 등. 세화는 길상의 의미로 문에 붙이는 오복을 가져오는 그림. 하회 화경당 문배도가 유일.

*耕耦경우:농사꾼(나란히갈우.짝우)

 

13.산.물.바다.자연

*泉石천석→아름다운을 자연지칭

*山日:산에서의 나날 
*江日:강에서의 나날

▶山水용어
*산(山), 악(嶽), 악(岳), 만(巒:산)
*봉(峰), 대(臺-약자 台), 령(嶺), 치(峙), 현(峴)
*대간(大幹), 정간(正幹), 정맥(正脈), 기맥(岐脈), 지맥(支脈), *산맥(山脈) 
*강(江) 또는 하(河), 천(川), 계(溪), 곡(谷), *수(水),
*양(洋), 해(海)
*담(潭), 소(沼), 탕(湯), 연(淵), 탄(灘)
*호(湖), 지(池), 당(塘) * 제(堤) * 택(澤),고(皐;언덕.못.늪)

*..碧山벽산.山陀산타;험한 산비탈.

*봉우리.

*水國靑山수국청산(많은)강과 산

* 崢嶸쟁영우뚝하다.가파르다

*碧水벽수.碧波벽파:푸른 물

*煙波연파물안개

*霖雨림우:장맛비

*澗水간수:산골짜기에서 흐르는 물.

*水國수국:바다의 세계.물의 나라.

*滄海창해:넓은 바다

*煮沸자비:펄펄끓음

 

14.날씨(바람..구름)

*雨雹우박

*은슬:물표면이 빛에 반짝임
*良宵明月:밝고 둥근 달이 높이 뜬 밤. ⇒남한 규범 표기는 ‘양소명월’이다.
*缺月결월:조각달→片月
*皓月=明月
*紅雲:노을
*雨雪우설:함박눈
*霢霂맥목:가랑비

*古風流고풍류.百世淸風백세청풍:매우아름답다.

*上氣상기.秋氣추기.~가을기운

*爽氣상기.淑氣숙기~봄기운

*風飛紫葉풍비자엽:바람에 날리는 낙엽.

*松嶽悲風송악비풍:개성의 슬픈바람

*古書風복고풍

*飄飄표표한~초연한. 정처없는.나부끼는. 飄風표풍:회오리바람.

*日暖風輕일난풍경:햇볕포근하고 바람산들거리다.

*落花飛雪낙화비설:지는 꽃 나는 눈과 같다.

*叢雲총운~뭉게구름.積雲적운.雲團운단

*雨脚우각~빗줄기

*飛電비전~나는 번개

*驟雨狂風취우광풍:사나운 비바람

*天陰천음:하늘이 흐림.

*墨雨흑우:시커먼 비

*濛雨몽우:가랑비

*驟雨취우:소낙비 달릴취急雨급우

 

15.시간.

*刻각:새길각. 一刻일각: 15분의 시간.

*孟冬(10월)→ 仲冬(11월)→ 孟冬(12월)

*夙숙(이른아침) → 晩만(저녁때).→暮모(해질때)→夕석(달뜰때7시~)→夜야(한밤9시~) 宵소(밤)
*良久양구:오래있다가
*達夜달야:한밤중

*음력 4월을 입하 立夏, 초하 初夏, 유하 維夏, 괴하 槐夏, 맥량 麥凉, 맥추 麥秋
*皐月(고월) 음력 오월을 달리 이르는 말.
*幾望기망:음력14

*望日망일:음력15(보름망)

元宵원소:음력 정월보름날 밤

*旣望기망:음력16

*初吉:음력 초

*晦日회일:음력 그믐날

*:12.제갈량이 一紀만 살게해주오.

*:백년

*千秋천추,萬世만세 등 흔한 용어사용금지

*子孫累代자손누대:대대로

*永世영세

*荏苒임염차츰차츰 세월이 지나감. 사물이 점진적으로 변화함

*嘉月가월:음력섣달의 이칭

*문득 첩. 잠깐 잠

*:바로,마침내 경

*점점..이미.약간.문득.매우.

*==: 세대

*不待月부대월:한달이 못되어

 

16.,열매,식물.나무

*松子송자→솔방울
*栗棘峰율극봉:밤송이金剛圈栗棘峰
*琪花瑤草기화요초:옥같은 꽃과 아름다운 풀.
*찔레~야장미(野薔薇), 산장미(山薔薇), 도미(荼蘼),질리(蒺梨).질려(蒺藜).홍찔레.백찔레

*映山紅영산홍:연산군이 좋아함
*杜鵑花두견화:진달래
*躑躅花척촉화:철쭉→躑躅杖(척촉장:철쭉지팡이).靑藜杖(청려장:명아주지팡이)
*萚(탁)낙엽
*羽狀複葉우상복엽→겹잎의 하나. 잎자루가 신장한 우축(羽軸) 좌우에 작은 잎이 달려 새의 깃 모양을 이룬다. 아카시아.자귀나무.소태나무 등.

*花朵화타꽃송이.늘어질타

*花叶화엽꽃잎(花片)

*霜落金英:서리맞은 국화

*紈花환화흰비단꽃 ( 흰비단 환)

*老菊殘香노국잔향.露菊幽香노국유향

*朔果삭과한 꼬투리에 여러 개 씨앗이 든 열매

*花軸화축꽃대

*水英수영미나리

*假僧木가승목:가죽나무(樗木저목).주사워만듦(樗蒲저포)

*辛夷신이:목련.영춘화(개나리)

*隔花격화꽃사이로

*繁英번영:많이 핀 꽃.

*花萼화악:꽃받침

 

17.동물

 

*귀뚜라미실솔蟋蟀.蛩螿공장

*꾀꼬리..黃鳥.

*百舌鳥백설조. 反舌鳥반설조지빠귀새.때까치. 새울음 흉내 잘냄. 奸臣간신에 비유.

*野犴야안:들개

*:새의 부리.烏喙

 

18.자취

*眞跡진적:직접 지은 작품

*行錄행록,行狀행장

*善風振선풍진.鴻業成홍업성

 

19.건물.전쟁.시설

*白屋,茅屋,草家.草堂.→초라한 집
*飛樓비루:전투시 이동식 망루.
*金城湯池금성탕지;쇠로된 성과 끓는물의 해자.요새
*弔橋조교:城의 해자건너는 다리.

*懸楔頭현설두:문지방 머리에 매달려 (문설주 설)

*屋頭옥두:난간 머리(欄頭) (난간 란)

*雉堞치첩:성가퀴.꿩치.성가퀴첩.성위의 낮은 담.

*鬪栱투공:斗栱도공기둥의 위쪽 합쳐진곳.

*風箏풍쟁:風磬풍경

 

20.태평성대, 즐거움

 

*康衢煙月강구년월. 國泰民安국태민안

*飯蔬飮水반소음수:거친 밥에 물 마시고

*簷下첨하:처마아래

 

21.神仙

 

*逍三經소삼경:신선의 길을 거닐다.

*華胥화서:태평국.신선의 나라.서로()

*后土후토:토지신(靈祇영기)

*碧桃벽도선경에 있는 전설상의 복숭아.

*蟠桃반도:3천 년 만에 한 번씩 열매가 열린다는 仙桃선도.

 

22., 나라

*啓辭계사:임금께 올리는 글. 啓계:아뢰다.

*進止진지:상소문 끝에 쓰이며 '처분하십시오'의 의미

*車駕거가:왕의 수레

*聖主성주:임금.

*新廷신정:새 조정.

*前朝전정:전대의 왕조.前朝風.舊國風

*遼碣요갈:요동지방(멀료.비석갈)

*法駕법가=鑾輿난여=金車금거=玉輦옥연:임금의 수레.

*符命부명:임금의 명. 왕이될 징조.

*御榻어탑:임금의 걸상.탁자

 

23.성현의 약칭 서적

*君子好遯  :군자호둔 ㅡ군자는 물러날 때 물러날줄안다.

*鄒魯추로:맹자와 공자

*洛閩낙민:정자와 주자

*洙泗수사:수수와 사수.공자학문한곳

*三墳五典삼분오전:삼황오제의 사적을 기록한 책(墳典)

*聖經성경.性理성리.斯文사문.吾道오도.

*是儒鄕시유향: 이 선비마을

*重華중화순 임금의 미칭.聖君성군

*和光同塵화광동진자기의 뛰어난 지덕을 나타내지 않고 세속을 따름을 이르는 말

*勞謙노겸=和光화광(지덕)을 드러내지 않음.

 

24.시문표현.

*云云운운: 말줄임표  ·  ·  ·  ·  ·  ·.

*箚차:기록할(상소문). 찌를 차 

*酬갚을 수: 酬oo → oo의 시에 답하다.

*彫琢조탁:시문 따위를 아름답게 다듬음.刪定산정

*玉筆옥필.玉稿옥고.玉書옥서:남의 시문의 경칭어.

*斷章取義단장취의:남이 쓴 문장이나 시의 일부를 끊어 내어, 그 전체적인 뜻이나 작자의 본뜻과는 무관하게 자기의 필요에 따라 인용함.

*風詠()풍영:시를 읊고 짓고

*詞林사림:시인騷人소인

*瓊句경구·玉章옥장옥같은 글

*卓犖탁락뛰어남

深玄심현깊고오묘한

*警策경책-警句졍구:옛시의 절묘한 표현

*書軸서축글씨를 쓴 족자.橫軸횡축.詩軸시축

*擱筆각필(閣筆):글을 쓰다가 붓을 던짐(황학루의 최호 시를 본 李白이 각필하다)

*落筆낙필:글을 쓰다.

*翰墨한묵.文翰문한:필묵.글씨나 글짓기.

*筆札필찰.筆跡필적.筆紙필지편지.종이와 붓.

*詩箋시전(편지)를 기록하는 종이 쪽지.詩箋紙시전지

*鋒鋩如禿箒봉망여독추칼날이 몽당비같다.

 

25.자녀.혼인

 

*弄玉농옥.弄璋농장:아들.

*弄瓦농와:

*倚閭之情의려지정 려:자녀가 돌아오기를 초조하게 기다리는 어머니의 마음이라는 말

*仰慕앙모:우러러 그리워함

*仰心앙심:기다리는 마음

*歸去귀거:시집가다

*伉儷항려 :부부의 관계를 맺은 상대.<짝항,짝려>

 

26.음식.옷.술

*白酒백주:막걸리

*紈袴환고:귀족들의 비단바지.
*靑枾實청시실:생감
*술잔→罍뇌.觥굉.杯.盃.觴.爵.

*內羞내수:곡식 음식
*庶羞서수:육고기 요리

*血食혈식:나라의 의식으로 제사를 지냄(생고기 음식).나라를 보존함.

*膏粱珍味고량진미:고기와 곡식으로 만든 맛있는 음식

*痛飮大快통음대쾌:술을 실컷 마셔 통쾌하다

*山海珍味산래진미:온갖 맛있는 음식

*滿漢全席만한전석:청나라 때 시작된 궁중 연회의 한 형태로 만주족의 연회를 만석(滿席), 한족의 것을 한석(漢席). 요리를 108가지 차림.

*김치저:

*기지떡:북한방언=霜花餠= 증편()양반떡

<>

*征袍:군복

 

27.하늘..

 

*后土:땅    后→존칭

*皇天황천:하늘  皇→존칭

*却月각월:초승달

*皓月호월=明月명월

*良宵양소:좋은 밤

 

28.품성

 

*晩翠만취:늦겨울에도 변하지 않는 소나무, 대나무 따위의 푸름.늙어서도 지조를 바꾸지 아니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卓彼탁피.卓絶탁절.卓說탁설...:아주 뛰어날

* 勞謙노겸 큰 공로가 있으면서도 겸손함.

 

29.국민.지역

 

*域民역민.黎首여수.黎民여민

 

30.사물

*皮穀피곡:禾화(벼),노적가리(庾곳집유:벼를 저장 ) →稻도(나락)(倉곳집창: 皮穀피곡을 저장) →米미(쌀)(廩곳집름:쌀을 저장)

*銀翼은익:비행기

*陀螺팽이

*沈檀木침단목향나무

*축로(舳艫);배의 이물()과 고물() 즉 배의 크기 포현.

*주사위(가죽나무로만듬)

 

31.건물

*橋교→아취형. 梁량→수평형다리

*炕房항방온돌항,온돌방 (말릴 항)

*齋宮재궁=齋舍재사:재계할 무덤.사당옆의 집.

 

32.계절현상

 

*明年명년:翌年익년

*청양(靑陽) : 봄 별칭

*주명(朱明) : 여름 별칭.

*백장(白藏) : 가을 별칭

*현영(玄英) :겨울 별칭

*震位진위: 태자궁, 동방, 동궁, 兎域토역

*木德목덕: // 火威화위: 여름

*凇結송결상고대,서리얼음.

*錦楓落葉금풍낙엽

*歲新明세산명새해가 밝았다.

*黑帝흑재겨울

*凜冽추위.찰름.추울열. (찰 름. 찰 렬)

*숙기봄기운. 한기가을기운

*한기→가을기운

 

33.부사

 

*先是선시:이에 앞서

*仍잉→오히려,누차,거듭,이에,인해
*孔공→구멍.매우.심히.깊이

*몰래.훔치다

*相將상장함께

*함께.같이.모두...

* :애오라지.겨우.오로지.그런대로.오직.

*. ~다만.비록

*()~겨우.조금. 잿빛()

*~잠시

*~.마침.우연

*~어둡다.자욱하다.그윽.아득.

*헛되이~.

*幾許기허: 얼마쯤. 얼마 가량

*~마땅히..마치.,

*~(3인칭)그것.개천.不稱渠불칭거(그것에 미치지 못할까)

*俄傾아경:갑자기.잠깐.잠시.기울다.

*:갑자기.잠간.겨우.별안간.

*向番지난번向者지난번.접때.

*何許하허:어디쯤

*不及불급:어쩔 수 없다.

*逡巡준순:우물쭈물.잠시.

*終當종당:끝내

*:한번, 처음으로

*:어찌.부터..적어도

 

34.美貌.얼굴표현.人體

 

*素手소수:맨손.고운손

*明眸皓齒명모호치~(美人)빛나는 눈동자와 흰 이.

*丹脣皓齒단순호치.빨간입술과 흰 이(美人).櫻脣앵순. 鶯桃앵도

*翠眉蟬鬢취미선빈붓으로 그린 녹색 눈썹과 매미날개처럼 하늘거리는 머리모양.곧 미인.

*笑窩소와~보조개.볼우물

*紅頰홍협~붉은뺨.

*兩眸양모두 눈동자

*嫣然一笑언연일소:예쁘게 한 번 웃음

*阿嬌아교陳皇后 (진황후)처럼 총애를 잃은 쓸쓸한 여인.

 

35.제사

*魂혼-陽神→하늘로(香)
*魄백-陰鬼→땅으로(酒)
*告利成고이성:신위神位에게 음식을 올리는 일이 끝났음을 알리는 의식. 尸童시동이 있을 때만 하는 제사절차이다.
*內羞내수:곡류 제사음식
*庶羞서수:육고기 제사음식
*祀사:봄제사
*禴약:여름제사(周) 약(礿)-夏殷(봄)
*嘗상:가을 제사
*烝증:겨울제사
*工祝공축:축관祝
*皇尸황시:尸童을 높임
*神保신보:신령.父祖를 지칭
*君婦군부:主婦

 

36.往來.동작.글자해석

 

*不불:현재형. 無무:과거형

*鳥조:꼬리 긴 새. 隹추:꼬리 짧은 새

*墜추:떨어지는 것이 보일 때. 墮타:추상적, 보이지 않을 때

*消愁소수:시름을 잊다

*不易到불이도:오기 쉽지않다.

*酣歌감가: 술을 마시고 흥겨워 노래 부름(:즐길 감)

*酣戰김전: 경기나 전투 따위에서 한창 격렬하게 어우러진 싸움

*使人嗟사인차사람을 탄식하게 한다.

*猛於餓虎毒於蛇맹어기호독어사굶주린 범보다 사납고 독사보다 독하다.

*催科拙최과졸세금을 독촉함이 서툴다.

*:견디다의 뜻이나 시어로 쓰면 할수있다로 많이씀. (o. v)

*不容불용()용납않다.아쉬운마음()을 몰라준다

*泄설:세다.풀다.泄其憤분을풀다.

 

37.글자.책(동의.동음)

*經경(지나가다.) 過과(경유하다.들렸다가다.) 

*龜의 발음 →귀(거북이란 의미), 구(지명이나 이름일 때), 균(터지다.틈의 의미: 龜裂균열)

*복수접두어→諸.群.衆
*복수접미어→等
*酬oo→oo의 시에 답하다.(갚을수)
*頁머리혈,쪽엽 →冊張엽.page.

*이기다→克추상적, 勝가시적
*核:과일안주.씨
*席석:본래있던자리.筵연:다식칸지리
*漢,唐將→한,당은 우리나라가 그 시대의 중국을 뜻함.唐將→명나라 장수.
*槪개=槩개(대개)→평미레:곡식되수평되게미는막대.
*却각=卻각(물리칠)
*見견→한 사람이 움직어서 만나보다
  遇우,逢봉→두 사람이 움직여 만나다.
*주다→獻헌(대등한관계에게주다).賜사(아랫사람에게주다)
*墮타(추상적떨어짐)墜추(눈에보이는것이 떨어짐)

*勒굴레륵(새길,정리할)→銘새길명
*策꾀책=筞꾀책.典策=典籍전적→古書籍고서적
*所바소=攸바유.장소유

*=벼슬주다.임명하다.

*=섬돌

*=물리치다.다시.도리어

*=마을

*=

*=~ 때문에,~로 인하여

*=기를 육

*=

*=. ==

*綿=면 솜

*=보배진

*(녹나무 남)

*찾다

*두두릴 고

*(望月멍월:15.旣望기망:16)

*

*

*부엌조

*:물가의 정자 정. :산위의 정자 사.

 

38.유의어의 차이

*議와 論 →의는 자격이 있는자만 책임을지고 의견을냄.논은 누구나 의견을 내며 책임이 따르지 않음.

*合音字→諸(之~於).盍(何不).叵파(不可). 旃전(之焉)
*爲(A)所(B):A에B하는바가 되다.
見(B)於(A):A에B하게 되다.

*가정문→恐(공).庶幾(서기:아마도)

*종결사:~뿐이다(而已,耳,爾)
*부정사→不(현재부정).未(과거부정).非(명사부정).弗(不술어~之목적어,부정)
*持(소형),帶(대형)→가지고, 데리고의 뜻

*성내다:怒노(얼굴에 나타남). 愠온(속으로 노함)

*조동사 : (허락, 상황). (능력, 의지)를 표현함.

 

39.기타

송서(誦書)는 산문으로 된 고전을 읽고 외우는 것이고, 율창(律唱)은 오언율시나 칠언절구의 전통시를 노래조로 읊는 것이다.

飽德醉義樂有餘포덕취의낙유여:덕에 배부르고 의에 취하면 즐거움이 넘친다.

▶守法度曰詩,載始末曰引,放情曰歌,悲如공 曰吟
▶應病與藥=對機說法

 

'한문학숙(漢文學塾) > 漢詩기초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4.봉요(蜂腰), 학슬(鶴膝), 고평(孤平)  (0) 2024.08.21
2.詩箋紙  (0) 2023.06.03
1.한시기본형식  (0) 2023.06.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