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1 2

121.苛斂誅求(가:렴-주구)

이 말의 뜻은 '세금(稅金)을 가혹(苛酷)하게 거두어들이고, 무리(無理)하게 재물(財物)을 빼앗는다'는 것이다. 주로 벼슬아치들의 비행을 폭로하는 말로 쓰인다. 유의어로 가정맹어호(苛政猛於虎)란 말이 있다.이 말의 전고는 중국 당나라의 정사를 적은 책인 구당서(舊唐書)에서 찾을 수 있다.공자(孔子)가 제자(弟子)들을 데리고 태산(泰山) 기슭을 지나가고 있을 때였다. 한 여인(女人)이 세 개의 무덤 앞에서 목 놓아 울고 있었다. 수레 위에서 이 소리를 듣고 있던 공자(孔子)는 제자(弟子) 자로(子路)에게 그 까닭을 물어보라고 했다. 자로(子路)는 여인(女人)에게 다가가서 정중(鄭重)히 입을 열었다. "당신(當身)의 울음소리를 들으니 굉장히 슬픈 일을 당하신 것 같은데 무슨 일이신지요?"여인(女人)은 더욱 ..

120.三綱五倫(삼강오륜)

삼강오륜(三綱五倫)은 유교에서 지켜야 할 세 가지 강령과 다섯 가지 인간관계를 말한다. 삼강(三綱)은 군위신강, 부위자강, 부위부강을 의미한다. • 군위신강(君爲臣綱): 임금은 신하의 벼리가 되며(忠), • 부위자강(父爲子綱): 아버지는 자식의 벼리가 되며(孝), • 부위부강(夫爲婦綱): 지아비는 지어미의 벼리가 된다(烈). 여기서 벼리는 '중심축'이다. 즉, 군위신강은 왕은 신하의 중심축이 된다, 쉽게 풀이하면 왕은 신하의 모범이 되고 신하는 왕의 말을 따라야 한다는 뜻이다. 오륜(五倫)은 부자유친, 군신유의, 부부유별, 장유유서, 붕우유신을 의미한다. • 부자유친(父子有親): 어버이와 자식 사이에는 친함이 있어야 한다. • 군신유의(君臣有義): 임금과 신하 사이에는 의로움이 있어야 한다. • 부부유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