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문학숙(漢文學塾)/한문문법

21.反語形

주비세상 2010. 9. 16. 17:04

 

(5) 반어형(反語形)

 

 어떤 사실에 대하여 동의를 얻거나 어세를 강조할 때 사실과 상반되는 내용으로 반문하는 문형.

 의문문은 대답을 요구하나 반어형은 동의를 구할 뿐 대답을 요구하지 않는다.

 

 

  가. 반어 부사가 쓰인 경우 : 豈, 安, 何, 寧, 焉, 胡, 奚, < 어찌 ~는가? >

 

      * 可是己而非人(기가시기이비인) : 어찌 자기만 옳고 남을 그르다 하겠는가?

      * 不入虎穴 得虎子(불입호혈 안득호자) : 범의 굴에 들어가지 아니하면 어찌 범의 새끼를 잡을 수 있겠는가?

      * 精神一到 事不成(정신일도 하사불성) : 정신이 한 곳에 이르면 어찌 일을 이루지 못하리오?

      * 得虎子(언득호자) : 어떻게 호랑이 새끼를 잡을 수 있으리오?

      * 以小易大 彼知之(이소역대 피오지지) : 작은 것으로 큰 것을 바꾸니 저들이 어찌 당신의 뜻을 알리오?

 

 

  나. 반어 종결사가 쓰인 경우 : 乎, 哉, 耶 < ~는가 ? >

 

      * 學而時習之 不亦說(학이시습지 불역열호) : 배우고 때로 그것을 익히면 또한 기쁘지 않겠는가?

      * 不仁者 可與言(불인자 가여언재) : 어질지 못한 사람과 더불어 말할 수 있겠는가?

      * 此非以賤爲本(차비이천위본야) : 이것이 천한 것으로 근본을 삼는 것이 아니겠는가?

 

  다. 반어부사와 의문종결사가 같이 쓰이는 경우 : 豈, 安, 何, 寧 +乎, 哉, 耶, 與(=歟)

                                                < 어찌 ~는가 ? >

 

      * 能獨樂(기능독락재) : 어찌 홀로 즐길 수 있겠는가?

      * 燕雀知鴻鵠之志(연작안지홍곡지지재) : 제비와 참새가 어찌 기러기와 고니의 뜻을 알겠는가?

      * 王候將相 有種(왕후장상 영유종호) : 왕후장상이 어찌 씨가 있겠는가?

      * 敢言於君(하감언어군호) : 어찌 감히 그대에게 말하리오?

 

 

 

'한문학숙(漢文學塾) > 한문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被動形  (0) 2010.09.17
22.使役形  (0) 2010.09.17
20.疑問形  (0) 2010.09.16
19.禁止形  (0) 2010.09.15
18.否定形  (0) 2010.09.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