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문학숙(漢文學塾)/한문문법

20.疑問形

주비세상 2010. 9. 16. 16:51

 

(4) 의문형(疑問形)

 

 사물이나 사실에 대해서 의문대명사, 의문부사, 의문종결사를 사용하여 ‘무엇인가? 어떠한가?’ 등의 상황을 묻는 문형.

 

  가. 의문대명사(疑問代名詞)

 

       誰, 孰, 何, 安, 奚, 惡 <누구, 어떤, 무엇, 어디, 어찌 >

 

      * 能爲我 折花而來(수능위아 절화이래) :누가 나를 위하여 꽃을 꺾어 올 수 있겠는가?

      * 禮與食 (예여식 숙중) : 예의와 먹는 것 중에 무엇이 중요한가?

      * 君子去仁 乎成名(군자거인 오호성명) : 군자가 인을 버리면, 어찌 군자답다 할 수 있으리요?

      * 子將(자장안지) : 그대는 장차 어디로 가려는가?

      * 不去也(해불거야) : 어찌하여 떠나지 않는가?

      * 子爲(자위수) : 그대는 누구인가?

      * (객하호) : 객은 무엇을 좋아하는가?

      * (노오재) : 길은 어디에는가 ?

 

  나. 의문부사(疑問副詞)

 

      何以, 若何, 何如(如何), 奈何 <어찌, 어떻게, 왜 >

 

      * 何以附耳相語(하이부이상어) : 어찌하여 귀에 대고 말합니까?

      * 憂之如何(우지여하) : 이런 일을 가지고 걱정하면 어찌하는가?

      * 其死何如(기사하여시) : 그는 언제 죽었는가?

      * 市義奈何(시의내하) : 의를 사려면 어떻게 하겠는가?

      * 楚惠(약초혜하) : 초나라의 은혜를 어떻게 할 것인가?

 

  다. 의문종결사(疑問終結詞)

 

     乎, 哉, 與(=歟), 耶(邪), 也, 諸(저:之乎) < ~는가 ? >

 

      * (가공호) : 함께 할 수 있겠습니까?

      * 夫風始安生(부풍시안재) : 바람은 맨 처음에 어디에서 부는가?

      * 自織之(자직지여) : 스스로 짠 것인가?

      * 以羊易之 有(이양역지 유저) : 양으로써 그것을 바꾸었다고 하니 그런 일이 있습니까?

      * 債畢收 來何疾(채필수호 래하질야) : 빚은 모두 받았는가? 어떻게 빨리 돌아왔는가?

 

 

'한문학숙(漢文學塾) > 한문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使役形  (0) 2010.09.17
21.反語形  (0) 2010.09.16
19.禁止形  (0) 2010.09.15
18.否定形  (0) 2010.09.15
17.平敍形  (0) 2010.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