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문학숙(漢文學塾)/한문문법

18.否定形

주비세상 2010. 9. 15. 15:33

 

 

 

(2) 부정형(否定形) 사물의 동작이나 상태 등을 부정하는 뜻으로 나타내는 문형.

 

. 단순 부정(單純 否定)

 

부정사不, 弗, 未, 非, 匪, 無등이 쓰이며, 드물게 금지사인 ‘毋, 勿, 莫이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 ~이 아니다. ~이 없다. ~아니하다. ~못하다. ~없다. >

 

   * 一日之狗 知畏虎(일일지구 부지외호) : 하룻강아지 범 무서운 줄 모른다.

   * 黃金千兩 爲貴(황금천량 미위귀) : 황금 천 냥이 귀한 것이 아니다.

   * 生而知之者(아비생이지지자) : 나는 태어나면서부터 아는 사람이 아니다.

   * 仁者(인자무적) : 어진 사람은 적이 없다.

   * 吾盾之堅 能陷也(오순지견 막능함야) : 나의 방패는 견고하여 무엇으로도 뚫을 수가 없다.

 

. 부분 부정(部分 否定) : 부정사+부사 < 반드시(항상) ~것은 아니다. >

 

   * 家貧 不常得油(가빈 불상득유) : 집이 가난하여 항상 기름을 얻는 것은 아니다.

   * 知者不必有德(지자불필유덕) : 지혜로운 사람이 반드시 덕이 있는 것은 아니다.

   * 山澤之利不盡(산택지리부진출) : 산과 못의 이익됨을 산출하지는 못한다.

 

. 전체 부정(全體 否定) : 부사+부정사 < 반드시(항상) ~이 아니다(못한다). >

 

   * 家貧 常不得油(가빈 불상득유) : 집이 가난하여 항상 기름을 얻지 못했다.

   * 鳳鳥 必不食死肉(봉조 필불식사육):봉황새는 반드시 죽은 고기를 먹지 않는다.

   * 聚斂之君 必不仁矣(취렴지군 필불인의):거두어 들이는 임금은 반드시 어질지 못하다.

   * 彼 必不高潔之士(피 필불고결지사):저 사람은 반드시 교결한 선비가 아니다.

 

. 이중 부정(二重 否定) : 부정사+부정사 < ~이 아니면 ~이 아니다. >

 

   * 知道(인불학 부지도) : 사람이 배우지 아니하면 도리를 알지 못한다.

   * 非不高也(성비불고야) : 성은 높지 않은 것이 아니다.

   * 吾矛之利 於物 無不陷也(오모지리 어물 무불함야) : 내 창의 날카로움은 모든 물건을 뚫지 못함이 없다.

 

※ 부정문에서 부정조동사와 부사와의 관계

{

不常有(부분부정) : 항상 있는 것이 아니다. 있을 때도 있고 없을 때도 있다.

常不有(전체부정) : 항상 있지 않다. 언제나 없다.

{

不必成(부분부정) : 반드시 되는 것은 아니다. 안 될 때도 있다.

必不成(전체부정) : 반드시 되지 않는다. 절대로 안 된다.

{

不俱生(부분부정) : 삶을 함께 하지 않는다. 한 쪽은 살아 남는다.

俱不生(전체부정) : 살지 않는 것을 함께 한다. 함께 죽는다.

{

不從來(부분부정) : 마침내 오지 않게 되었다. 오는 것을 그쳤다.

從不來(전체부정) : 끝내 오지 않았다. 처음부터 끝까지 오지 않았다.

{

不皆同(부분부정) : 다 같은 것은 아니다. 다른 것도 있다.

皆不同(전체부정) : 다 같지 않다. 다 다르다.

{

不旣然( 反 問 ) : 그렇지 않겠는가?

旣不然(단순부정) : 이미 그러하지 않다.

{

不其多( 反 問 ) : 많지 않겠는가?

其不多(단순부정) : 많지 않다.

 

 

'한문학숙(漢文學塾) > 한문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疑問形  (0) 2010.09.16
19.禁止形  (0) 2010.09.15
17.平敍形  (0) 2010.09.11
16.漢文章의 構造(3)  (0) 2010.09.11
15.漢文章의 構造(2)  (0) 2010.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