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자를 풀이하면 '향기는 멀리 퍼질수록 더욱 맑다'라는 뜻이다. 여기서 향기는 연꽃의 향기를 말한다. 이 말은 군자의 덕행이 오래도록 은은하게 전해지는 것을 비유한 것이다. 경복궁 후원의 香遠亭(향원정)은 여기서 따온 이름이다. 조선후기 강세황(姜世晃)의 연꽃 그림도 향원익청(香遠益淸)이다. 이 말은 송(宋)나라의 유학자인 주돈이(周敦 )가 지은 '애련설(愛蓮說)'에서 유래했다. 고문진보 후집에 나오는 이 글을 보면, 진(晉)나라 때의 도연명은 홀로 국화를 좋아하였고, 당(唐)나라 이후부터는 모란꽃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매우 많아졌다. 그러나 나는 유독 연꽃을 좋아한다. 왜냐하면 연꽃은 진흙에서 피어나지만 더러움에 물들지 않고, 맑은 물결이 연꽃을 깨끗이 씻어도 요염해지지 않으며, 연꽃의 줄기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