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 머리를 걸어 놓고 개고기를 판다는 뜻으로 겉은 훌륭하나 속은 변변치 못하거나, 그럴듯한 물건을 전시해 놓고 실제로는 형편없는 물건을 파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안자춘추(晏子春秋)》에 쇠머리를 문에 내걸고 안에서는 말고기를 판다고 했다. 세조(世祖)가 정감(丁邯)에게 조서를 내려 “쇠머리를 걸고 말 포를 팔며, 도척처럼 행하면서 공자의 말을 한다.”고 말했다. 원 출전은 ‘우수마육(牛首馬肉)’인데 오늘날 속어가 약간 변하여 소와 말 대신 양과 개로 바뀌었으나 뜻은 다르지 않다.
「전국시대 제(齊)나라의 영공(靈公)은 궁중의 모든 여자들에게 남장을 시켰다. 그러자 백성들이 모두 남장을 했다. 그러자 영공은 백성들에게 “여자인데 남자 옷을 입는 자는 옷을 찢고 허리띠를 잘라 버리겠다.”고 하며 남장을 금지시켰으나 서로 바라보면서 그치지를 않았다. 영공은 재상인 안자(晏子)에게 물었다. “과인이 관원을 시켜 여자들의 남장을 금지시키고 옷을 찢고 허리띠를 자르는데도 서로 바라만 보면서 그치지 않는 것은 무엇 때문이오?” 안자가 대답했다. “왕께서는 궁중의 여자들에게는 남장을 하라고 하시면서 백성들에게만 하지 말라고 하십니다. 그것은 마치 쇠머리를 문에 걸어 놓고 안에서는 말고기를 파는 것과 같은 일입니다. 궁중에서도 남장을 못 하게 하시면 백성들 사이에서도 감히 못 할 것입니다.” 영공은 옳다고 하며 궁중에서도 남장을 하면 안 된다는 명을 내렸다. ‘양두구육’의 원말은 ‘현양두매구육(懸羊頭賣狗肉)’이다.
'한문학숙(漢文學塾) > 한문용어[典故]' 카테고리의 다른 글
15.啐啄同時(줄탁동시) (1) | 2024.02.28 |
---|---|
14.飛龍乘雲(비룡승운) (0) | 2024.02.26 |
12.斷章取義(단장취의) (1) | 2024.02.24 |
11.퇴고(推敲) (1) | 2024.02.24 |
10.西王母(서왕모) (1) | 2024.0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