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역하면 '울면서 마속을 참하다.'이다. 마속은 사람 이름이다.
큰 목적을 위하여 자기가 아끼는 사람을 처형한다는 말이다.
≪삼국지(三國志)≫의 <마속전(馬謖傳)>에 나오는 말이다.
중국(中國) 삼국시대(三國時代) 때 촉(蜀)나라 제갈량(諸葛亮)이 군령(軍令)을 어기어 가정(街亭) 싸움에서 패(敗)한 마속을 눈물을 머금고 참형(斬刑)에 처하였다는 데서 유래(由來)한다.
제갈량이 위(魏)나라를 치기 위해 군사를 이끌고 기산으로 진격했을 때, 이에 맞선 조조(曹操)는 영원한 제갈량의 적수 사마의(司馬懿)를 파견해 산기슭에 진을 치고 대치하게 했다.
제갈량은 군수물자 수송로인 가정(街亭)을 지켜야 했다. 이에 가정 전투(戰鬪) 책임자(責任者)로 마속(馬謖)을 임명(任命)한다. 마속은 제갈량(諸葛亮)의 지시(指示)를 어기고 자기(自己)의 얕은 생각으로 전투(戰鬪)를 하다 참패(慘敗)를 가져왔다. 마속(馬謖)은 뛰어난 장수(將帥)요, 제갈량(諸葛亮)과는 문경지교(刎頸之交)를 맺은 마량(馬良)의 아우였지만, 제갈량(諸葛亮)은 한중(漢中)으로 돌아오자 눈물을 머금고 마속(馬謖)의 목을 벤 뒤 장병(將兵)들에게 사과를 한 것이다. 장관(長官)이 제갈량(諸葛亮)을 보고
"앞으로 천하(天下)를 평정(平定)하려 하는 이때에 마속(馬謖) 같은 유능(有能)한 인재(人材)를 없앴다는 것은 참으로 아까운 일입니다."
하고 말하자 제갈량(諸葛亮)이 눈물을 흘리며
"손무(孫武)가 싸워 항상(恒常) 이길 수 있었던 것은 군율(軍律)을 분명(分明)히 했기 때문이다. 이같이 어지러운 세상(世上)에 전쟁(戰爭)을 시작(始作)한 처음부터 군율(軍律)을 무시(無視)하게 되면 어떻게 적(敵)을 평정(平定)할 수 있겠는가?"
라고 대답(對答)했다는 것이다.(디지털 한자사전)
'한문학숙(漢文學塾) > 한문용어[典故]' 카테고리의 다른 글
95. 守株待兎(수주대토) (1) | 2025.04.25 |
---|---|
94. 三人成虎(삼인성호) (0) | 2025.04.01 |
92. 大丈夫(대장부) (0) | 2025.03.16 |
91. 與民同樂(여민동락) (0) | 2025.03.16 |
90. 漁父之利(어부지리) (0) | 2025.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