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말은 글자대로 풀이하면 '건장하고 씩씩한 사나이'라는 의미로, 남자다운 남자를 가리킨다.
현대에 흔히 쓰이는 대인배(大人輩)라는 말이 바로 대장부(大丈夫)라고 할 수 있다.
《맹자(孟子)》 등문공편(文公篇) 하(下)에 보면, 대장부란 과연 어떤 사람인가에 대해 맹자가 한 말이 나온다.
경춘(景春)이란 사람이 맹자에게 말하였다.
"위(魏)나라 사람 공손연(公孫衍)과 장의(張儀)는 참으로 대장부가 아니겠습니까? 그들이 한 번 성을 내면 모든 제후들이 또 전쟁이 일어나지 않을까 근심하고, 그들이 조용히 있으면 온 천하가 조용하니 말입니다."
그러자 맹자가 이렇게 대답하였다.
"그런 것을 가지고 어찌 사내대장부라 하겠소. 그대는 아직 예기(禮記)란 책을 읽어 본 적이 없소? 거기에 보면 이런 말이 있다오.
'장부가 처음 성인이 될 때는 아버지가 교훈을 주고, 여자가 시집을 가면 어머니가 교훈을 준다. 어머니는 딸을 전송하면서 시집에 가거든 시부모님께 존경을 다할 뿐 아니라 자신을 항상 경계하여 남편에게 어기는 일이 없게 하여라고 한다.' 하였소. 이처럼 순종하는 것을 바른 도리로 여기는 것은 단지 부녀자의 생활에 지나지 않소. 저 공손연과 장의가 다만 자기 임금의 뜻에 순종하여 높은 벼슬자리를 차지하려 하니 어찌 사내대장부라 하겠소?
대장부라면 모름지기 천하의 가장 넓은 곳에 살며, 천하의 가장 바른 지위에 서서, 천하의 가장 큰 도를 행하여야 하오. 그리하여 뜻을 이루면 백성과 더불어 말미암고, 뜻을 얻지 못하면 홀로 그 도를 행하여, 부하고 귀하여도 능히 음란하지 않고, 가난하고 천하여도 능히 지조를 잃지 않으며, 권위와 무력으로도 굴복시킬 수 없는 사람이 대장부가 아니겠소?"
맹자에 의하면, 대장부란 대의를 품고 그것을 이루기 위해 시속에 굴하지 않고 꾸준히 노력하는 사람이며, 뜻을 이룬 후에도 교만하지 않고, 뜻을 이루지 못하더라도 비굴하지 않은 사람이다.
우리나라에서도 대장부는 역사상 많았다. 예를 들면 이순신 장군, 남이 장군, 안중근 의사, 이봉창 의사 같은 분이 대장부라 할 수 있을 것이다.
'한문학숙(漢文學塾) > 한문용어[典故]' 카테고리의 다른 글
94. 三人成虎(삼인성호) (0) | 2025.04.01 |
---|---|
93. 泣斬馬謖(읍참마속) (0) | 2025.04.01 |
91. 與民同樂(여민동락) (0) | 2025.03.16 |
90. 漁父之利(어부지리) (0) | 2025.03.14 |
89. 揠苗助長(알묘조장) (0) | 2025.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