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말은 '곡식(穀食)의 싹을 뽑아 올려 성장(成長)을 돕는다.’는 뜻으로, 성공(成功)을 서두르다 도리어 해(害)를 봄을 비유적(比喩的)으로 하는 말이다. 알묘(揠苗)와 조장(助長)을 나누어 써도 같은 의미이다.
이 말은 ≪맹자(孟子)≫의 공손추장구(公孫丑章句) 상편에 나오는 말이다.
맹자(孟子)가 호연지기(浩然之氣)를 설명하면서 송(宋)나라 농부의 우화를 인용한다. 농부는 모내기를 한 논에 매일 아침 일찍 나가 거름을 주며 싹이 잘 자리도록 부지런히 돌봤다. 그런데도 다른 사람의 벼는 쑥쑥 잘 자라는 것 같은데 자기 논의 싹은 도무지 성장이 너무 느린 것 같았다. 좋은 방법이 없을까 고민하다가 어느 날 논에 가서 한 포기 한 포기씩 잡아당겨 주었다. 보기에 확실히 자란 것 같아 집에 가서 자랑삼아 식구들에게 싹을 잡아당겼더니 잘 컸다고 말했다. 깜짝 놀란 아들이 기겁하여 나가보니 싹이 이미 하얗게 말라 있었다.
맹자가 설명을 덧붙인다. '무익하다고 해서 내버리는 자는 곡식을 심고 김매지 않는 자이며, 억지로 자라게 하는 자는 싹을 뽑아 올리는 자이다. 이런 일은 한갓 유익함이 없을 뿐만 아니라 도리어 해로운 것이다.
'한문학숙(漢文學塾) > 한문용어[典故]' 카테고리의 다른 글
91. 與民同樂(여민동락) (0) | 2025.03.16 |
---|---|
90. 漁父之利(어부지리) (0) | 2025.03.14 |
88. 宋襄之人(송양지인) (0) | 2025.03.06 |
87. 刻舟求劍(각주구검) (0) | 2025.03.06 |
86. 反求諸己(반구저기) (0) | 2025.03.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