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자를 풀이하면
'아무리 빠른 사두마차(駟馬:사마)라도 혀를 놀려서 하는 말을 따르지 못한다'
는 뜻이다. 소문은 순식간에 퍼지는 것이므로 말을 조심하여야 함을 이르는 말이다.
비슷한 말로
•사마난추(駟馬難追)→입에서 나온 말은 사두마차도 따르기 힘든다
•언비천리(言飛千里)→발 없는 말이 천리 간다.
•악사천리(惡事千里)→나쁜 소문은 세상에 빨리 퍼진다.
가 있다.
공자의 가르침을 적은 논어(論語)의 안연편(顔淵篇)에 나오는 말이다.
위(衛)나라 대부(大夫) 극자성(棘子成)과 언변과 이재(理財)에 뛰어난 자공(子貢)과의 대화에서 유래한다.
극자성이 자공에게,
“군자는 그 바탕만 세우면 그만이지 무슨 까닭으로 문(文)이 필요한가요?”
라고 물었다.
이에 자공이
"안타깝습니다. 당신의 말은 군자답지만 네 마리 말이 끄는 수레도 혀(言)에 미치지 못합니다(駟不及舌).
문(文:꾸밈,인공)이 질(質:바탕,자연)과 같고 질(質)이 문(文)과 같으면, 그것은 마치 털 없는 호랑이 가죽과 표범 가죽을, 털 없는 개가죽이나 양가죽과 같다고 보는 이치와 같지요"
라고 대답하였다.
자공이 말한 사불급설(駟不及舌)은 극자성이 실언한 것이니 말을 조심해서 하라는 뜻이다.
'한문학숙(漢文學塾) > 한문용어[典故]' 카테고리의 다른 글
68. 낭중지추(囊中之錐) (0) | 2025.01.04 |
---|---|
67. 풍수지탄(風樹之歎) (0) | 2024.12.20 |
65. 漆身呑炭(칠신탄탄) (1) | 2024.12.15 |
64. 亢龍有悔(항룡유회) (0) | 2024.12.12 |
63. 結草報恩(결초보은) (0) | 2024.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