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자의 뜻은 '풀을 묶어 은혜를 갚다는 뜻으로 죽어서도 은혜를 잊지 않고 갚는다'는 말이다. 비슷한 말로는 백골난망, 각골난망 등이 있고, 정반대의 의미로는 배은망덕이 있다.
《춘추좌씨전》에 전하는 고사성어. 선공 15년의 경문(經文) 기록에 붙은 주석[傳]에 나온다.
춘추시대 진(晉)나라의 대신이었던 위주(魏犨)는 젊은 후처를 얻었는데, 병이 들자 아들 위과(魏顆)에게 후처를 친정으로 돌려보내 개가(재혼)시키라고 유언을 남겼다. 그런데 병세가 중해져 정신이 오락가락해지자 말을 바꿔 후처를 순장시키라는 유언을 남기고 세상을 떠났다. 위과는 아버지의 상반된 유언 중에서 무엇을 따를지 고민했는데, 차남 위기는 순장하자는 유언을 따르자고 했으나 결국 위과는 아버지가 정신이 온전했을 때 남긴 유언을 따르기로 하여 서모를 순장시키지 않고 친정으로 돌려보내 개가 시켰다.
후에 위과는 전쟁터에 나가 진(秦)나라 군대와 싸우게 되었는데, 적장 두회(杜回)가 워낙 용맹하고 무시무시해서 진(晉)나라 군사들이 감히 맞서지를 못했다. 두회는 보병들을 이끌고 개산대부라는 큰 도끼를 휘둘러 닥치는 대로 말이건 사람을 가리지 않고 쳐 죽여 전황이 진(晉)군에게 불리하게 돌아가면서 퇴각할 상황에 처했으나, 어느 순간 두회가 갑자기 비틀거리더니 제대로 움직이지 못하다가 그만 고꾸라지는 바람에 위과는 쓰러진 두회를 손쉽게 사로잡아 큰 공을 세우게 되었다. 그런데 위과가 두회가 고꾸라진 자리를 자세히 살펴본즉 풀들이 매듭지어져 있는 것이었다.
그날 밤에 잠이 든 위과의 꿈에 한 노인이 나타났는데 그는 서모의 친정아버지였다. 서모의 친정아버지는 위과에게 본인의 딸을 순장하지 않고 살려서 친정으로 돌려보낸 뒤 개가를 도와주었음에 감사히 여겨 그 은혜를 갚기 위해 풀을 엮어 두회를 사로잡게 했다고 밝힌다. <나무위키에서 발췌>
'한문학숙(漢文學塾) > 한문용어[典故]' 카테고리의 다른 글
65. 漆身呑炭(칠신탄탄) (1) | 2024.12.15 |
---|---|
64. 亢龍有悔(항룡유회) (0) | 2024.12.12 |
62. 羹爛汝手(갱란여수) (0) | 2024.12.07 |
61. 윤집궐중(允執厥中) (3) | 2024.12.07 |
60.여조삭비(如鳥數飛) (0) | 2024.1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