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다운예절/성년례

1. 성년례

주비세상 2010. 1. 30. 15:09

 

 

1. 성년례

 

구분

관례(冠禮)

계례(笄禮)

현대 성년식

(現代 成年式)

목적

어른으로서의 책임과 의무를 일깨우는 책성인지례(責成人之禮)에 있다.

대상

남자

여자

남녀

시기

15∼20세 되는 해

정월달 택일

15세 되는 해

정월달 택일

만 19세 되는 생일날,

또는 그해 성년의 날

몸차림

·남자 어른의 옷차림.

·상투 튼 머리에 관을 씀.

·여인의 옷차림.

·쪽 찐 머리에 비녀를 꽂음.

성인의 머리 모양과 옷차림을 함.

절차

설명

①初加禮:상투를 찌어주는 의식

②再加禮:갓(초립)을 씌워주는 의식

③三加禮:복두(유건)를 씌워주는 의식

④乃醮禮:차를 대접하는 의식

⑤乃字禮:자(字)를 지어내리는 의식

⑥祠堂謁見·乃禮賓:사당에 알현하고, 부모 친척어른에게 인사드리고, 손님 접대하는 의식

 

①單加冠禮:머리를 쪽 찌고,

비녀 꽂고, 녹의홍상에

배자를 입는 의식

②乃醮禮:차를 대접하는 의식

③乃字禮:당호를 내리는 의식

④祠堂謁見·乃禮賓:사당에 알현하고, 부모 친척어른에게 인사드리고, 손님 접대하는 의식

 

①거례선언(擧禮宣言)

②큰손님 모시기

③성년자 입장

④일동 경례

⑤성년자 인사

⑥문명(問名)

⑦다짐

⑧성년선서와 서명

⑨술 의식

⑩큰손님 수훈(授訓)

⑪성년자 경례

⑫일동 경례

⑬예필선언(禮畢宣言)

대우

 

권리

 

의무

 

① 말씨 : ‘해라’에서 ‘하게’로 높여서 한다.

② 이름 : 관자(冠者)에게는 ‘자(字)’를, 계자(笄者)에게는 ‘당호(堂號)’를 부른다.

③ 답배 : 인사를 드릴 때 어른이 말로써 답례 하던 것을 답배로 해 준다.

④ 품삯 : 온 품삯으로 높여서 받는다. 

<권리>

① 각종 법률 행위권

② 혼인 자유권

③ 각종 선거권   

④ 정당 가입 및 활동권

<의무>

① 국가적 의무(국토방위)

② 가정에 대한 의무(자립, 가족 부양)

③ 사회적 의무 (자기 행동에 책임)

 

 자료:李茂永:한국가정의례<한국예절대학> 

 

 

'아름다운예절 > 성년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5-1.성년례 시연<동영상>  (0) 2010.02.04
5.개별 성년례 식순  (0) 2010.02.04
4.성년 선서문과 선언서  (0) 2010.02.04
3.계례(笄禮)의 절차  (0) 2010.02.03
2.관례의 절차  (0) 2010.0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