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다운예절/혼례

1.전통혼례절차

주비세상 2009. 11. 20. 14:51

 

 

 

1. 전통 혼례의 절차

절 차

해 설

1. 의혼(議婚)

· 중매(仲媒)

중매인

혼사를 의논하는 단계다. 중매인을 넣어 양측의 의사를 타진하고 남자측에서 청혼서(剛先:剛儀)를 보내면 여자측에서 허혼서를 보낸다. 불허할 땐 이를 돌려보낸다.

· 청혼(請婚)

남자측의 청혼서
(剛先:剛儀)

· 허혼(許婚)

여자측의 허혼서

· 불허(不許)

양측

2. 납채(納采)

· 사주(四柱)

신랑의 사성(四星:生年月日時)를 쓴 단자.

양가가 의혼이 끝나고, 혼인 날짜를 받는데 필요한 남자측의 사성을 보내면, 여자측에서 혼인 예정일을 받아 보내는 단계이다.

· 납채서(納采書)

허혼서를 받고 사주단자를 보낸다는 편지.

· 연길(涓吉)

혼인 날짜를 쓴 단자.
(涓日)

· 납기서(納期書)

혼인 날짜를 보낸다는 편지.

3. 납폐(納幣)

· 혼서지(婚書紙)

  (예장지·납폐서)

신랑집에서 예단(禮緞)에 붙여 보내는 편지.

신랑집에서 혼인을 허락한 신부집에 대한 감사의 뜻으로 신부용 혼수와 혼서·물목을 함에 넣어 보내는 절차이다. 지금의 약혼 의식이라고도 볼 수 있다.

· 채단(采緞)

신랑집에서 보내는 청색·홍색의 비단.

· 혼수함(婚需函)

예단과 물목기를 넣은 함(封采).

· 함 보내기

신랑집에서 10여일 전에 보냄.

· 함맞이

신부집에서 함을 받음.

4. 친영(親迎)

· 초자례·초녀례

   (醮子禮·醮女禮)

신랑 신부가 혼인날 아침 자기집에서 조상과 부모에게 서약하는 의식

혼인 예식의 단계이다. 자기 집에서 서부모례와, 초례청에서 서천지례와 서배우례를 정중히 하고 부부의 연을 맺는 것이다.

신부는 신랑집으로 가서 시댁 부모와 친지에게 이 댁의 며느리임을 예로서 알린다.

· 전안례(奠雁禮)

신랑을 신부집에서 맞아들이는 의식.

· 교배(交拜禮)

초례상을 앞에 두고 신랑 신부가 처음 상면하는 예.

· 서천지례

   (誓天地禮)

신랑 신부가 천지신명에게 서약하는 예.

· 서배우례

  (誓配偶禮)

배우자에게 서약하고 서약을 받아들이는 예.

· 합근례(合巹禮)

신랑 신부가 서로 표주박의 술을 바꾸어 마시는 의식.

· 우귀(于歸·新行)

신부가 정식으로 신랑집에 입주하는 것.

· 현구고례

  (見舅姑禮)

폐백을 준비하여 신부가 시댁 부모에게 인사를 올리는 것.

 

'아름다운예절 > 혼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함채우기(동영상)  (0) 2009.11.25
5. 동심결매듭(동영상)  (0) 2009.11.25
4.혼서지와 물목기  (0) 2009.11.25
3.사주단자와 연길  (0) 2009.11.23
2.청혼서와 허혼서쓰기  (0) 2009.1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