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호 |
호 칭 |
용 법 |
1 |
각하(閣下) |
국가 원수급 또는 장관 이상이나 군 장성. |
2 |
좌하(座下) |
높은 경칭으로, 존경하는 부모나 스승, 웃어른이나 선배. |
3 |
선생·선생님 |
사회적 저명인사와 윗사람에게 두루 씀. 오늘날 윗사람에
대해 가장 널리 쓰이는 호칭. |
4 |
여사(女史) |
저명 여서에 대해 사용, 주로 혼인한 여성을 높여 부르는
호칭. |
5 |
∼님 |
친하지 않은 사람에게 위아래나 남녀 구별이 없이 오늘날
가장 널리 쓰이는 우리말 호칭. |
6 |
귀하(貴下) |
위아래나 지위의 고하 또는 남녀의 구별 없이 두루 쓰이는
호칭. |
7 |
안하(案下)
궤하(机下) |
귀하(貴下)와 같은 경우에 사용. |
8 |
형(兄)·언니 |
같은 연배, 친구 사이에 정답게 사용하는 호칭. 나이가
좀 위인 경우에 쓰면 좋다.
* 형(兄) 대신 인형(仁兄), 대형(大兄), 학형(學兄) 등으로도 씀. |
9 |
∼씨 |
흔히 동료 간에 쓰는 호칭. 동년배쯤인 이성 사이에도 씀. |
10 |
∼께, ∼에게 |
‘∼께’는 윗사람, ‘∼에게’는 아랫사람에게 사용. |
11 |
∼군(君)·미스터 |
자기보다 아랫사람이거나 스승이 제자에게, 친구 등 절친한
사이에 씀. 특히 미혼남성에게 씀. |
12 |
∼양(孃)·미스 |
자기보다 아랫사람이거나 스승이 제자에게, 친구 등 절친한
사이에 씀. 특히 미혼여성에게 씀. |
13 |
현인(賢人)·대인(大人) |
친구 사이에 더러 씀. |
14 |
아인(雅人)·아형(雅兄)·사형(詞兄)·사인(詞人) |
문학하는 친구 사이에 씀. |
15 |
화백(畵伯) |
화가를 높여서 이르는 호칭. |
16 |
존좌하(尊座下) |
극존장(極尊長)에게 씀. |
17 |
제위(諸位) |
두 사람 이상에게 연명으로 보낼 때 씀. |
18 |
∼형시집(兄侍執)
성좌하(省座下)
시안하(侍案下) |
부모님을 모시고 있는 친구에게 씀. |
19 |
∼형위좌하(兄慰座下) |
병석에 있는 친구에게 씀. |
20 |
∼씨 애좌하(哀座下) |
상인(喪人) 친구에게 씀. |
21 |
∼씨 복좌하(腹座下) |
복인(服人) 친구에게 씀. |
22 |
장관님 숭집(崇執) |
장관급 상대에게 씀. |
23 |
지사님 대집(臺執) |
지사급(知事級) 상대에게 씀. |
24 |
∼정집(政執)
∼영안하(令案下) |
군수급(郡守級) 상대에게 씀. |
25 |
∼교수님, ∼선생님 |
교수 및 선생급 상대에게 씀. |
26 |
혜감(惠鑑) |
학문에 조예가 있는 사람에게 씀. |
27 |
즉전(卽展) |
윗사람이 손아래 사람에게 씀. |
28 |
즉견(卽見) |
집안어른이 자손에게 보낼 때 씀. |
29 |
좌전(左前) |
편지받는 사람의 이름 아래 공대하여 씀. |
30 |
혜존(惠存) |
자기의 저서나 작품을 남에게 중 때 받는 사람 이름에
붙여 쓰는 존칭. |
31 |
사제(査弟) |
바깥사돈 사이에 자기를 겸손하게 쓰는 말. |
32 |
(자기이름) 本第入納,
(자기이름) 本家入納 |
자기 본가에 편지를 보낼 때 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