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한복 입는 법
<한복 바르게 입기> 1. 길복(吉服)은 오른쪽을 여미는 우임(右衽)이고, 흉복은 왼쪽을 여미는 좌임(左袵)이다. 2. 바짓가랑이의 짧은 사폭(斜幅)이 왼쪽 다리에 오게 입는다. 3. 두루마기는 남자에게는 정장(正裝)이고, 여자에게는 방한복(防寒服)이다. 남자는 잠잘 때 외는 두루마기를 입고, 여자는 실내나 의식행사에 참석할 때는 두루마기를 벗는다. 4. 목도리는 남녀 모두 방한 장구이다. 실내나 의식행사 때는 벗는다. 5. 모자와 장갑은 의례용이 아니면 벗어야 한다.
<남자 한복 입는 법> 1. 내의나 속고의(袴衣:홑바지) 속적삼(赤衫:홑저고리)을 입는다. 2.바지는 앞뒤를 구분해서 작은사폭이 왼쪽 큰사폭이 오른쪽이다. 작은사폭이 안으로 들어가게 여미되 앞뒤 마루폭에 중심을 두어 허리띠로 고를 맨다. 3. 저고리는 동정니가 맞게 안고름을 맨 뒤 겉고름을 맨다. 4. 버선을 신을 때는 수눅 솔기가 중앙을 바라보도록 하며 수눅선이 약간 안으로 기울어지게 신어야 맵시가 난다. 5. 대님을 맨다. 6. 조끼는 바지, 저고리와 조화를 이루는 색으로 하며, 조끼 밑으로 저고리가 빠지지 않아야 한다. 7. 마고자는 방한용이다. 저고리가 마고자의 소매 끝이나 도련 밑으로 보이지 않게 한다. 8. 도포나 두루마기를 입는다. 사계절 모두 외출을 하거나 예를 갖추어야 할 경우에는 반드시 입는다.
<여자 한복 입는 법> 1. 짧은 속곳을 입고 긴 속바지를 입는다. 2. 속치마를 입는다. 통치마 모양이며 겉치마보다는 짧게, 속바지보다는 길게 입는다. 3.치마를 입는다. 보통 왼쪽으로 여며 입는 것이 활동하기 편하다. 자락을 떨어지는 선에서 잡아 그대로 들어주며, 뒤트기치마일 경우 뒷중심에서 양쪽으로 7㎝ 가량 여며지게 입는다. 4. 속적삼을 입고 버선을 신는다. 5. 저고리를 입는다. 동정니를 맞추고 고름을 맨다. 6. 진동서의 구김을 정리한다. 고대와 어깨솔기가 뒤로 넘어가지 않게 약간 앞으로 숙여 치마허리가 저고리 도련 밑으로 보이지 않게 하고 치마 밑에 버선이 보이지 않게 한다. 7. 노리개를 단다. 8. 두루마기를 입는다. 저고리 깃과 두루마기 깃이 어긋남이 없이 포개져 있는지 본다.
* 李茂永:생활예절<한국예절대학> |
'아름다운예절 > 기본예절'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남자한복입기(동영상) (0) | 2010.02.17 |
---|---|
10.여자한복입기(동영상) (0) | 2010.02.17 |
8.친척관계를 나타내는 용어 (0) | 2009.11.16 |
7.편지에 쓰이는 호칭 (0) | 2009.11.15 |
6.九思와九容 (0) | 2009.1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