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의 귀를 막고 방울을 훔친다'는 뜻이다. 모든 사람이 그 잘못을 다 알고 있는데 얕은꾀를 써서 남을 속이려 하나 아무 성과가 없음을 이르는 말이다.
이 말은 <呂氏春秋여씨춘추>라는 책의 불구론(不苟論) 자지편(自知篇)에 나온다.
진(晉) 나라 육경(六卿)의 한 사람인 범 씨(范氏)는 다른 네 사람에 의해 중행씨(中行氏)와 함께 망하게 된다. 이 범 씨가 망하자, 혼란한 틈을 타서 범 씨 집 종을 훔친 사람이 있었다. 그러나 종이 지고 가기에는 너무 커서 하는 수 없이 망치로 깨뜨렸다. 그러자 꽝! 하는 요란한 소리가 났다. 도둑은 혹시 딴 사람이 듣고 와서 자기가 훔친 것을 앗아갈까 하는 생각에 얼른 손으로 자기 귀를 가렸다는 것이다.
이 이야기는 임금이 바른말하는 신하를 소중히 여겨야 한다는 비유로 이른 말이다. 자기의 잘못을 자기가 듣지 않는다고 남도 모르는 줄 아는 것은 귀를 가리고 종을 깨뜨리는 도둑과 똑같은 어리석은 짓이란 것을 말하기 위해서였다.
남이 들을까 겁이 나면 자기가 먼저 듣고 그 소리가 나지 않게 하는 것이 현명한 일이다. 바른말하는 신하는 임금의 가린 귀를 열어 주는 사람이므로 소중히 해야 한다.
<여씨춘추> 에는 또 위문후(魏文侯)의 이야기를 예로 들고 있다.
위문후가 신하들과 술을 마시는 자리에서 자기에 대한 견해를 기탄없이 들려 달라며 차례로 물어 나갔다. 그러자 한결같이 임금의 잘한 점만을 들어 칭찬을 했다. 그러나 임좌(任座)의 차례가 되자, 그는 임금의 약점을 들어 이렇게 말했다.
"임금께서는 중산(中山)을 멸한 뒤에 아우를 그곳에 봉하지 않고 태자를 그곳에 봉하셨습니다. 그러므로 어두운 임금인 줄로 아옵니다."
문후는 무심중 얼굴을 붉히며 불쾌한 표정을 지었다. 그러자 임좌는 급히 밖으로 나가 버렸다. 다음에 유명한 적황(翟黃)이 말할 차례가 되었다.
"우리 임금은 밝으신 임금입니다. 옛 말에 임금이 어질어야 신하가 바른말을 할 수 있다 했습니다. 방금 임좌가 바른말하는 것을 보아 임금께서 밝으신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문후는 곧 자기 태도를 반성하고 급히 임좌를 부른 다음 몸소 뜰아래까지 나가 그를 맞아 상좌에 앉게 했다 한다.
'한문학숙(漢文學塾) > 한문용어[典故]' 카테고리의 다른 글
60.여조삭비(如鳥數飛) (0) | 2024.11.28 |
---|---|
59.十常侍(십상시) (0) | 2024.10.06 |
57.煮豆燃萁(자두연기) (0) | 2024.09.03 |
56.涸轍鮒魚(학철부어) (1) | 2024.08.27 |
55.忍中有和(인중유화) (0) | 2024.08.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