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주 쓰이는 허자 자주 쓰이는 虛字 用法 1. 於(=于,乎) ① 處所 : ~에, ~에서, ~(으)로 李舜臣, 生於漢陽 (이순신은 한양에서 태어났다.) 月出於東山之上(달이 동산 위에서 뜬다.) ② 對象․目的 : ~에, ~에게, ~을(를) 吾十有五而志于學(나는 15세에 배움에 뜻을 두었다.) 攻乎異端 斯害也已(이단을 공격하면 그 것이 .. 한문학숙(漢文學塾)/한문문법 2010.09.22
29.累加形 (13) 누가형(累加形) 글의 의미를 강조하기 위해 점차 뜻을 보태가는 문형. 가. 부정사 (不,非) + 한정부사 (惟,獨,徒,只,但) + 접속사 (亦,又) * 非徒 ~ 且, 不惟 ~ 亦, 非獨 ~ 且 < 다만 ~ 일 뿐만 아니라 또(한) ~ > ☞ 非徒危己也 又且危父矣(비도위기야 우차위부의) : 다만 자기를 위험하게 할 뿐만 아니라.. 한문학숙(漢文學塾)/한문문법 2010.09.17
28.抑揚形 (12) 억양형(抑揚形) 표현하고자 하는 바를 가볍게 눌렀다가 다시 어조를 높임으로써 뜻을 강조하는 문형. * 況 ~ 乎 < 하물며 ~ 하랴 ? > ☞ 死馬且買之 況生者乎(사마차매지 황생자호) : 죽은말도 사거늘 하물며 산말은 안사겠는가? * 且 ~ 安 ~ < ~ 도 하는데 어찌 ~ 하랴 > ☞ 臣 死且不避 巵酒安足.. 한문학숙(漢文學塾)/한문문법 2010.09.17
27.限定形 (11) 한정형(限定形) 사물과 행위의 범위나 정도를 한정하는 문형. 가. 한정 부사가 쓰인 경우 : 惟, 維, 唯, 但, 只, 徒 < 오직 > * 學者所患 惟有立志不誠(학자소환 유유립지불성) : 배우는 사람이 근심할 것은 오직 뜻을 세움에 성실하지 못함이 있을 뿐이다. * 只在此山中 雲深不知處(지재차산중 운.. 한문학숙(漢文學塾)/한문문법 2010.09.17
26.感歎形 (10) 감탄형(感歎形) 사물이나 사실에 느낌을 받아 기쁨, 슬픔, 경탄, 탄식 등의 느낌을 표현하는 문형. 가. 감탄사가 쓰인 경우 : 惡乎(오호), 嗚乎, 於乎(오호), 於戱, 噫(意), 惡, 嗟乎, 嘻(譆) 등 < 아 ! > * 惡乎君子! 天有君子(오호군자 천유군자) : 아아! 군자여! 하늘에는 빛나는 덕이 있다. * 嗚呼! 痛.. 한문학숙(漢文學塾)/한문문법 2010.09.17
25.比較形 (9) 비교형(比較形) 사물이나 사실에 대하여 우열을 비교하는 문형. 가. 비교 전치사가 쓰이는 경우 * 於 : < ~보다 ~ > ☞ 霜葉紅於二月花(상엽홍어이월화) : 단풍잎이 이월의 꽃보다 더 붉다. * 于 : < ~까지 ~, ~보다 ~ > ☞ 天吏逸德 烈于猛火(천리일덕 열우맹화) : 천자의 잘못된 행위는 사나운 불.. 한문학숙(漢文學塾)/한문문법 2010.09.17
24.假定形 (8) 가정형(假定形) 어떤 조건이나 행위를 가정하여 그 결과를 예상하거나 의지를 나타내는 문형. 가. 가정 부사가 쓰인 경우 * 若 · 如 : < 만약 ~하면(이면) > ☞ 春若不耕 秋無所望(춘약불경 추무소망) : 봄에 밭을 갈지 아니하면 가을에 바랄 바가 없다. * 苟 : < 만약(실로) ~하면 > ☞ 苟有過 人.. 한문학숙(漢文學塾)/한문문법 2010.09.17
23.被動形 (7) 피동형(被動形) 문장 내의 주어가 객체에 의하여 어떤 행위를 받게 됨을 나타내는 문형. 가. 피동 보조사가 쓰인 경우 : 被, 見, 爲 < ~을 당하다. ~을 받다. > 피동 보조사가 동사의 앞에 놓여 동작의 피동성을 나타내고, 되에 오는 동사는 목적어가 된다. * 國一日被攻(국일일피공) : 나라가 어느 .. 한문학숙(漢文學塾)/한문문법 2010.09.17
22.使役形 (6) 사역형(使役形) 주체가 그 대상에게 어떤 행위를 하게 하는(시키는) 것을 나타내는 문형. 가. 사동 보조사가 쓰인 경우 : 使, 令, 敎, 俾 < ~로 하여금 ~하게 하다 > * 天帝 使我長百獸(천제 사아장백수) : 하느님이 나로 하여금 온갖 짐승들의 우두머리가 되게 하였다. * 令諸君知之(영제군지지) : 제.. 한문학숙(漢文學塾)/한문문법 2010.09.17
21.反語形 (5) 반어형(反語形) 어떤 사실에 대하여 동의를 얻거나 어세를 강조할 때 사실과 상반되는 내용으로 반문하는 문형. 의문문은 대답을 요구하나 반어형은 동의를 구할 뿐 대답을 요구하지 않는다. 가. 반어 부사가 쓰인 경우 : 豈, 安, 何, 寧, 焉, 胡, 奚, < 어찌 ~는가? > * 豈可是己而非人(기가시기이.. 한문학숙(漢文學塾)/한문문법 2010.09.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