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23 3

83. 東方十八賢(동방 18 현)

동방 18 현(東方 十八 賢)은 1961년 2월 23일 전국 유림대회에서 선정된, 신라·고려·조선 시대를 거치면서 나라의 최고 정신적 지주에 올라 문묘에 종사(從祀)된 18명의 한국의 유학자들을 말한다. 동국 18현(東國 十八賢)이라고도 한다.• 동배향 제1위 : 홍유후(弘儒侯) 설총 • 동배향 제2위 : 문성공(文成公) 안유 • 동배향 제3위 : 문경공(文敬公) 김굉필 • 동배향 제4위 : 문정공(文正公) 조광조 • 동배향 제5위 : 문순공(文純公) 이황 • 동배향 제6위 : 문성공(文成公) 이이 • 동배향 제7위 : 문원공(文元公) 김장생 • 동배향 제8위 : 문경공(文敬公) 김집 • 동배향 제9위 : 문정공(文正公) 송준길 • 서배향 제1위 : 문창후(文昌侯) 최치원 • 서배향 제2위 : 문충공(文..

82. 東方五賢(동방오현)

우리나라 조선시대 때 가장 훌륭한 현인 다섯 분을 말한다.조선의 5 현인은  학자와 선비로서 양심과 도덕을 실천하고, 독창적인 자신의 학문 세계를 구축하며, 학식과 덕망이 뛰어나고, 학자로서 후세에 존경을 받고, 학문적 업적이 역사에 길이 남기신 분들을 전국 유림회에서 선정하였다. 성균관 문묘에 배향된 정여창, 김굉필, 조광조, 이언적, 이황은 조선 전기 성리학을 주도하던 한국 사상계의 중심인물들이며, 조광조를 제외하고는 모두 영남사람들로 광해군 2년(1610)에 동방오현으로 선정되었다. 길제의 제자인 김종직은 특히 김굉필 정여창 등의 후진을 길렀다. 그들은 사화 때 난을 고하지 않은 죄와 김종직의 제자로서 붕당을 이루어 조의제문의 삽입을 방조한 죄로 유배를 갔다. 일반적으로 사림파는 정몽주→권근→길재→..

81. 杜門不出(두문불츨)과 杜門72賢(두문72현)

이 말의 뜻은 '문을 닫고 나가지 않고 집안에만 들어앉아 외출을 하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이 말은 중국 고사도 있지만 우리나라 역사에도 두문 72현으로 전해지는 이야기가 있다. 고려왕국의 도읍지 송도인들은 고려를 패망시키고 새로운 나라를 세운 조선왕조에 반감을 갖고 있었다. 그들은 최영 장군을 처형하던 날 항의 표시로 동맹철시를 했다.  이성계는 고려에 충성하던 유림들에게 조선 조정에 충성하면 직책을 주고 신분을 보장해 주겠다고 회유했다. 그러나 고려의 충신 중 72인은 불사이군의 정신으로 경기도 개풍군 광덕면 광덕산 서쪽 기슭 두문동 산속으로 들어가 버렸다. 조선의 혁명세력은 나오면 살려준다는 최후통첩과 함께 이들이 은거하고 있던 광덕산 두문동 골짜기에 불을 질렀다. 하지만 이들은 불타는 화염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