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조선시대 때 가장 훌륭한 현인 다섯 분을 말한다.
조선의 5 현인은 학자와 선비로서 양심과 도덕을 실천하고, 독창적인 자신의 학문 세계를 구축하며, 학식과 덕망이 뛰어나고, 학자로서 후세에 존경을 받고, 학문적 업적이 역사에 길이 남기신 분들을 전국 유림회에서 선정하였다.
성균관 문묘에 배향된 정여창, 김굉필, 조광조, 이언적, 이황은 조선 전기 성리학을 주도하던 한국 사상계의 중심인물들이며, 조광조를 제외하고는 모두 영남사람들로 광해군 2년(1610)에 동방오현으로 선정되었다.
길제의 제자인 김종직은 특히 김굉필 정여창 등의 후진을 길렀다.
그들은 사화 때 난을 고하지 않은 죄와 김종직의 제자로서 붕당을 이루어 조의제문의 삽입을 방조한 죄로 유배를 갔다.
일반적으로 사림파는 정몽주→권근→길재→ 김숙자→김종직→김굉필→정여창→이언적→퇴계 이황 등으로 도맥이 이어진다.
사림파 학자 중 가장 위대한 인물은 퇴계 이황으로 주자의 이기이원론을 발전시켜 이기호발설을 주장하였으며, 성학십도를 저술하여 왕에게 올리기도 하였다.
'한문학숙(漢文學塾) > 한문용어[典故]' 카테고리의 다른 글
84. 犬猿之間(견원지간) (0) | 2025.02.26 |
---|---|
83. 東方十八賢(동방 18 현) (0) | 2025.02.23 |
81. 杜門不出(두문불츨)과 杜門72賢(두문72현) (0) | 2025.02.23 |
80. 十匙一飯(십시일반) (0) | 2025.02.09 |
79. 唾面自乾(타면자건) (0) | 2025.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