톳골사랑방/톳골사랑방대화

7. 친가의 지칭과 호칭을 자녀에게 가르치자

주비세상 2021. 6. 26. 16:37

7. 친가의 지칭과 호칭을 자녀에게 가르치자

 

핵가족 시대가 되어 친척 모임이 드물어 졌다. 가까운 친척도 명절이나 제사, 혼사, 장례 때가 아니면 만나기 어려운 시대가 되었다. 자녀가
"저 사람은 누구야?"
하고 물으면 바르게 대답할 수 있는 부모도 드물다.

 

친가의 지칭

 

당내(同高祖八寸) 직계가족 지칭은 위로,
나→부(父) →조부(祖父) →증조부(曾祖父) →고조부(高祖父) → 현조부(玄祖父:5대조) →이상은 6대조, 7대조로 칭한다.


아래로,

나→자(子)→손(孫) →증손(曾孫) →현손(玄孫) →이하는 6대손,7대손(來,昆,仍,雲孫, 10대손)순으로 칭한다.

 

1. 나의 형제(同氣)는 형, 제이고 여형제는 자(누나), 매(누이)이다.

 

*형제자매의 자녀는 종자從子이다. 그 중에서 형제의 아들은 조카(姪)이고, 딸은 질녀(姪女)이다.
누나(여동생)의 아들은 생질(甥姪)이고, 딸은 생질녀 (甥姪女)이다.

 

*여자의 손위 오라버니는 백남伯娚(맏오빠), 중남仲娚(둘째오빠)이고, 그 부인은 백남댁伯娚宅, 중남댁仲娚宅이다. 사촌오라버니는 종남從娚(사촌오빠)이다.. 그 부인은 종남댁從娚宅이다.
손아래 오라비는 남동생男同生이다.

 

 

2. 아버지 형제는 백부(伯父), 중부(仲父), 숙부(叔父) ···· 계부(季父)이고, 여형제는 고모(姑母)라고 한다(삼촌).
아버지 형제가 많으면 큰아버지, 둘째아버지, 세째아버지 ···· 마지막은 작은아버지로 호칭한다.

 

*아버지 형제의 아들은 종형제이고, 딸은 종자매이다.(사촌).

 

*종형제자매의 자녀는 재종자再從子이다. 그 중에서 종형제의 아들은 종질(당질)이고 딸은 종질녀이다(오촌).

 

*고모의 아들은 내종(고종)형제이고, 딸은 내종(고종)자매 이다.

 

 

3. 할아버지의 형제는 종조부, 여형제는 대고모(존고모尊姑母,왕고모)이다.

 

*종조부의 아들은 종숙(당숙)이고, 딸은 종고모從姑母이다(오촌).

 

*대고모의 자녀는 내종숙(존고종尊姑從:父의 고종)이다.

 

*종숙의 아들은 재종형제이고, 딸은 재종자매이다. (육촌)

 

*종고모의 아들은 내재종형제이고, 딸은 내재종자매이다.

 

*재종형제자매의 자녀는 삼종자三從子이다. 그 중에서 재종형제의 아들은 재종질이고 딸은 재종질녀이다(칠촌).

 

 

4. 증조할아버지 형제는 종증조부이고, 여형제는 증대고모이다.

 

*종증조부의 아들은 재종조부이고, 딸은 재종대고모이다.(육촌)

 

*재종조부의 아들은 재종숙부이고, 딸은 재종고모이다.(칠촌)

 

*재종숙부의 아들은 삼종형제이고, 딸은 삼종자매이다. (팔촌)

 

*재종고모의 아들은 내삼종형제이고, 딸은 내삼종자매이다.

 

*삼종형제자매의 자녀는 족종자族從子이다. 그 중에서 삼종형제의 아들은 삼종질이고 딸은 삼종질녀이다(구촌).

 

 

5. 고조할아버지 형제는 종고조(從高祖)이고, 여형제는 고대고모이다.

 

*종고조부의 아들은 재종증조부이고, 딸은 재종증대고모이다.(칠촌)

 

*재종증조부의 아들은 삼종조부이고, 딸은 삼종대고모이다.(팔촌)

 

*삼종조부의 아들은 삼종숙부이고, 딸은 삼종고모이다.(구촌)

 

*삼종숙부의 아들은 족(사종)형제이고, 딸은 족(사종)자매이다.(십촌)

 

*삼종고모의 아들은 내족(내사종)형제이고, 딸은 내족(내사종)자매이다.

 

*족형제자매의 자녀는 族從子이다. 그 중에서 족(사종)형제의 아들은 족질이고 딸은 족질녀이다(십일촌).

◆ 호칭

 

이상은 타인에게 나와의 관계를 지칭하는 용어이고, 직접 대면하여 부를 때는 나와 항렬(行列)이 같으면 "형,아우", 숙항(叔行)이면 "아재", 조항(祖行)이상이면 "할아버지"라고 호칭한다. 
계촌은 직계와 형제는 촌수를 따지지 않고 3촌부터 계촌한다.

촌수가 8촌(삼종)을 넘어 10촌에 이르러도 사종숙·사종형제 식으로 호칭을 할 수도 있지만, 그렇게 호칭하는 예가 별로 없다. 자기와 동항(東行)이면 족형(族兄), 족제(族弟)라 부르거나, 어진 종족(宗族)이라는 뜻의 현종(賢宗)이라고 예우해 부르기도 한다. 숙항(叔行)이면 족숙(族叔)이라 하고, 조항(祖行) 이상이면 족대부(族大父) 또는 대부(大父)라고 부르는 게 일반적이다.

 

♣ 더 자세한 것은 다음 "주비세상" 블로그를 클릭하여 ▶계촌칭호표를 참고하세요.    
https://m.blog.daum.net/jbksm/814?category=7591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