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문학숙(漢文學塾)/선비메일함

56. 강희맹의 오언절구 한 수

주비세상 2014. 6. 25. 19:26

 

어떤 선생님께서 가야산 洞口 바위에 적힌 한시를 적어와서 해석을 의뢰하는 질문을 하셨는데

제 실력으로는 역부족하여 몇 분 선생님께 부탁하여 다음과 같이 원전과 해석을 찾았습니다.

 

우리 한문반에서 2013.5.27 예천문화탐방을 할 때 草澗亭을 둘러본 적이 있습니다.

이 정자를 지은 草澗 權文海(1534∼1591)선생은 우리나라 최초의 백과사전이라 할 수 있는 ‘大東韻部群玉’을 저술한 조선 선조 때 학자입니다.

草澗 權文海 선생의 아들 權鼈(권별)이 編한 문헌설화집 <海東雜錄>에 실린 私淑齋 姜希孟(朝鮮 前期의 文臣)의 詩입니다.( 修堂 孔正甫 한문반강사님 조사)

제가 "한국고전종합DB"사이트에서 <海東雜錄>의 원문을 찾아 질문하신 선생님의 詩句를 비교한 결과 가야산 바위에 적힌 글자를  잘못 적어온 듯하여 그 글자에 색깔을 달리 표시하였습니다.

 

 

<出典原文>

 

海東雜錄[二]

 

本朝[二]

 

姜希孟

 

 

 

伽倻山洞口有一巨石。滑如磨礱。私淑齋題一絶于岩上云。

 

銕削千尋壯。

雲生萬涼。 (竇:구멍 두)를 寶(보)로 오기함

冥頑終不(悟:깨달을 오)를 語(어)로 오기함

但蒼蒼。 (立:설 입)을 屹(산우뚝할 흘)로 오기함

 

因名曰泚筆岩。

 

<해석> 가야산 동구에 큰 바위 하나가 있는데, 매끄럽기가 갈아 놓은 것 같다. 사숙재가 절구 한 수를 지어 그 바위 위에 썼는데,

 

장하도다. 깎아지른 바위 천 길인데 / 銕削千尋壯

일만 구멍에서 구름이 피어나서 서늘하구나. / 雲生萬寶涼

어리석고 완고함을 끝내 깨닫지 못한 채 / 冥頑終不悟

우뚝 서서 창창하기만 하구나. / 屹立但蒼蒼

 

하였다. 그래서 이름은 자필암(泚筆岩)이라 하였다.

                                                   (주비세상)



'한문학숙(漢文學塾) > 선비메일함' 카테고리의 다른 글

58. 선인들의 避暑百景  (0) 2014.07.31
57. 나이의 별칭  (0) 2014.07.21
55. 한시<雨聲 >감상  (0) 2014.06.17
54. 儒學의 十三經  (0) 2014.06.09
53. 何如歌와 丹心歌   (0) 2014.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