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못을 자신(自身)에게서 찾는다.’는 뜻으로, 어떤 일이 잘못되었을 때 남의 탓을 하지 않고 그 일이 잘못된 원인(原因)을 자기(自己) 자신(自身)에게서 찾아 고쳐 나간다는 의미(意味)이다.
이 말은『맹자』「공손추상」에서 다음과 같이 언급하고 있다.
‘인(仁)’을 행하는 것은 활쏘기 하는 것과 같으니, 활을 쏘는 사람은 자신을 바로잡은 뒤에야 화살을 발사하는데, 발사한 것이 적중하지 않더라도 자기를 이긴 사람을 원망하지 않고 돌이켜서 자신에게서 구할 뿐(反求諸己)이다.(仁者如射, 射者正己而後發, 發而不中, 不怨勝己者, 反求諸己而已矣.)
또, 고사로 우(禹)임금 아들 백계(伯啓)의 일화가 『여씨춘추』「선기(先己)」편에 나온다.
하(夏)나라 때 제후인 유호 씨가 군사를 일으켰다. 백계가 토벌대를 이끌고 감택(甘澤)에서 싸웠으나 이기지 못했다. 그러자 여러 대신이 다시 한번 싸울 것을 주장했다. 그러나 백계는 자신의 영토와 백성이 유호 씨에 비해 적지 않음에도 패한 것은 자기 덕이 부족하고 지도를 잘하지 못했기 때문이라며 나가서 싸우지 않았다. 그 후 백계는 더욱 분발하여 검소하게 생활하며 덕 닦기에 힘썼다. 이렇게 1년이 지나자 유호 씨도 감히 침범하지 못하고 스스로 항복해 귀순하였다. 전쟁에서 승패의 원인을 자신에게서 찾고 이를 극복했던 백계의 고사는 반구저기의 정신을 잘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공자는『논어』「위령공」편에서 “군자는 자기에게서 구하고(君子求諸己), 소인은 다른 사람에게서 구한다(小人求諸人).”라고 했는데 이것도 반구저기와 같은 의미라고 할 수 있다.
'한문학숙(漢文學塾) > 한문용어[典故]' 카테고리의 다른 글
88. 宋襄之人(송양지인) (0) | 2025.03.06 |
---|---|
87. 刻舟求劍(각주구검) (0) | 2025.03.06 |
85. 色即是空 空即是色(색즉시공 공즉시색) (0) | 2025.02.26 |
84. 犬猿之間(견원지간) (0) | 2025.02.26 |
83. 東方十八賢(동방 18 현) (0) | 2025.0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