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문학숙(漢文學塾)/한문용어[典故]

76. 見危授命(견위수명)

주비세상 2025. 2. 2. 19:35

 글자대로 풀이하면 '위험(危險)을 보면 목숨을 바친다.’는 뜻이나 이면의 뜻은 '나라가 위태로울 때는 자신의 목숨까지도 바친다'는 뜻이다. 견위치명(見危致命)이라고도 한다. 

논어(論語) 〈헌문(憲問)〉편에 나온다. 자로(子路)가 성인(成人)에 대해 묻자, 공자(孔子)는 지혜·청렴·용기·재예·예악(禮樂)을 두루 갖춘 사람이 성인이라고 대답한 뒤, 다음과 같이 덧붙인다.

 

"그러나 오늘날의 성인이야 어찌 반드시 그러하겠는가? 이로움을 보면 대의(大義)를 생각하고, 위태로움을 보면 목숨을 바치며, 오래 전의 약속을 평생의 말(약속)로 여겨 잊지 않는다면, 또한 마땅히 성인이라 할 수 있다.(今之成人者 何必然 見利思義 見危授命 久要 不忘平生之言 亦可以爲成人矣)"

 

공자는 여기서 지금의 성인은 옛날의 성인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위의 세 가지 요건만 갖추면 성인이라 할 만하다는 뜻으로 이른 것이다. 이 문장에서 유래한 견위수명은 이후 나라를 위해서는 목숨도 아낌없이 바칠 줄 아는 충신을 일컫는 용어로 굳어졌다. 흔히 견리사의(見利思義)와 함께 '견리사의 견위치명'으로 어울려 쓰이는 경우가 많다. 

비슷한 말로는 공적인 것을 앞세우고 사적인 것을 뒤로한다는 뜻의 선공후사(先公後私), 국가의 대의를 위해 부모 형제도 돌보지 않는다는 뜻의 대의멸친(大義滅親), 사사로운 것을 버리고 공을 위해 봉사한다는 뜻의 멸사봉공(滅私奉公), 충성을 다하여 나라의 은혜를 갚는다는 뜻의 진충보국(盡忠報國)·갈충보국(竭忠報國)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