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문학숙(漢文學塾)/한문용어[典故]

78. 刮目相對(괄목상대)

주비세상 2025. 2. 7. 12:43

글자를 풀이하면
‘눈을 비비고 상대편(相對便)을 본다.’
는 뜻으로, 남의 학식(學識)이나 재주가 놀랄 만큼 부쩍 늚을 이르는 말이다. 

이 말은 중국의 <삼국지>에서 명장으로 손꼽히는 촉(蜀)나라의 관우(關羽)를 사로잡는 공을 세운 것으로 유명한 오(吳)나라 장수 여몽(呂蒙) 이 한 말에서 유래되었다.
오나라(吳--) 왕인 손권(孫權)의부하 중에 무술이 뛰어난 여몽(呂蒙)이라는 장수(將帥)가 있었다. 병졸(兵卒)에서 전쟁(戰爭)의 공(功)으로 장군(將軍)까지 된 여몽(呂蒙)이었으나 무식(無識)했다. 
그러나 손권(孫權)은 그가 이론적(理論的)인 병법(兵法)까지 알기를 원해서 학문(學問)을 깨우치도록 충고(忠告)를 했다. 이때부터 그는 전장(戰場)에서도 손에서 책(冊)을 놓지 않고 공부(工夫)했다. 

 

얼마 후 뛰어난 학식(學識)을 가진 노숙(魯肅)이 여몽(呂蒙)과 의논(議論)할 일이 있어 찾아갔다. 노숙(魯肅)은 여몽(呂蒙)과 막역(莫逆)한 친구(親舊)여서 여몽(呂蒙)을 누구보다도 잘 알고 있었다. 그래서 그와 얘기를 나누는 사이 그의 박식(博識)함에 깜짝 놀라면서 
"이 사람 언제 그렇게 공부(工夫)했나? 이제 오나라(吳--) 있을 때 여몽(呂蒙)이 아닐세." 
그러자 여몽(呂蒙)은 이렇게 대꾸했다. 
"선비가 헤어진 지 사흘이 지나면 눈을 비비고 다시 대해야 할 정도로 달라져 있어야 하는 법이라네.(士別三日 卽當刮目相對)"
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