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에서 마음으로 전하는 일이란 의미다. 염화시중(拈華示衆), 이심전심(以心傳心), 교외별전(敎外別傳), 심심상인( 心心相印), 정법안장(正法眼藏), 열반묘심(涅槃妙心), 실상무상(實相無相), 미묘법문(微妙法門), 불립문자(不立文字)와 비슷한 뜻으로 쓰인다.
불교 선종(禪宗)에서 많이 쓰는 말인데, 중국 송(宋)의 회암지소가 저술한 〈인천안목(人天眼目)〉에는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 "부처님께서 영축산에 계시는데 어느날 범천왕(梵天王)이 영축산에 내려와서 석가모니께 금바라화를 바치고 중생들을 위한 설법을 청하자 석가모니가 단위에 올라가 꽃을 들어 보였다. 대중들 중에 여기에 응대하는 자가 없었다. 유독 마하가섭만 파안미소했다. 그러자 석가모니가
'나의 정법안장열반묘심실상무상을 마하가섭에게 전하노라'
라고 말씀하셨다."
〈인천안목〉에는 위의 이야기가 〈대범천왕문불결의경(大梵天王問佛決疑經)〉에 있다고 했는데, 오늘날 학자들은 중국 선종(禪宗)에서 그들의 정통성을 강조하고 사상의 요체를 설명하기 위해 지어낸 것이라고 믿는다. 부처님의 정법은 부처님의 가르침에 따라 수행하는 제자라면 출가 재가의 구분 없이 누구나 전할 수가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염화미소는 중국 송나라 이후 선종에서 이심전심·교외별전·불립문자의 종지를 드러내는 이야기로 자주 인용되었다.
'한문학숙(漢文學塾) > 한문용어[典故]'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和光同塵(화광동진)→光而不耀(광이불요) (0) | 2024.03.10 |
---|---|
21.伯牙絶絃(백아절현)→知音(지음) (1) | 2024.03.08 |
19.老益壯(노익장) (0) | 2024.03.01 |
18.兎死狗烹(토사구팽) (0) | 2024.02.29 |
17.轉禍爲福(전화위복) (0) | 2024.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