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내용은 윤순환 선생님께서 제공하셨습니다.>
알아야 할 한자상식
1. 文房四友 [문방사우] 서재에 갖추어야 할 네 벗인 지(紙)·필(筆)·묵(墨)·연(硯), 곧 종이·붓·먹·벼루의 네 가지를 아울러 이르는 말.
2. 身言書判 [신언서판] 중국 당나라 때 관리를 등용하는 시험에서 인물평가의 기준으로 삼았던 기준. 즉, 몸[體貌]·말씨[言辯]·글씨[筆跡]·판단[文理]의 네 가지를 이르는 말.
3. 四君子 [사군자] [품성이 군자와 같이 고결하다는 뜻으로] ‘매화·난초·국화·대나무’의 넷을 이르는 말.
4. 七去之惡 [칠거지악] (지난날, 유교적 관념에서 이르던) 아내를 버릴 수 있는 이유가 되는 일곱 가지 경우.
1.시부모에게 불순한 경우 2. 자식을 낳지 못하는 경우 3.음탕한 경우 4.질투하는 경우 5.나쁜 병이 있는 경우 6.말이 많은 경우 7.도둑질한 경우’를 이름.
5. 三不幸 [삼불행]
맹자가 말한 불행의 세 가지. 1. 蓄財(축재)에 전념하는 것 2. 자기 처자만 사랑하는 것 3. 부모에게 불효하는 것
三不惑 [삼불혹] 빠지지 말아야 할 세 가지. 술 · 여자 · 재물
6. 三不孝 [삼불효] 세 가지 불효. 1. 부모를 불의(不義)에 빠지게 하고, 2. 가난 속에 버려두며, 3. 자식이 없어 제사가 끊어지게 하는 일.
7. 三不朽 [삼불후]
세가지 썩어 없어지지 않는 것. 세운 德(덕), 이룬 功(공), 敎訓(교훈)이 될 훌륭한 말.
8. 三從之道 [삼종지도]
세가지 따라야 할 도리 1. 옛날 여자가 어려서는 아버지를 따르고 2. 시집을 가면 남편을 따르며 3. 남편이 죽으면 자식을 따르라는 말
|
'한문학숙(漢文學塾) > 선비메일함'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 추석의 고찰 (0) | 2013.09.10 |
---|---|
19. 한옥의 구조와 명칭 (0) | 2013.09.09 |
17. 우리나라 역대 왕실 연대표 (0) | 2013.08.22 |
16. 之의 쓰임 (0) | 2013.08.15 |
15. 년도별로 보는 세계사 (0) | 2013.08.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