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비교형(比較形)
사물이나 사실에 대하여 우열을 비교하는 문형.
가. 비교 전치사가 쓰이는 경우
* 於 : < ~보다 ~ >
☞ 霜葉紅於二月花(상엽홍어이월화) : 단풍잎이 이월의 꽃보다 더 붉다.
* 于 : < ~까지 ~, ~보다 ~ >
☞ 天吏逸德 烈于猛火(천리일덕 열우맹화) : 천자의 잘못된 행위는 사나운 불보다 가혹하다.
* 乎 : < ~ 와(과) ~ >
☞ 國之語音 異乎中國(국지어음 이호중국) : 나라의 말소리가 중국과 다르다.
나. 비교 서술어가 쓰이는 경우
* 동급 : 若, 如, 猶, 由 < 마치 ~와(과) 같다. >
☞ 上善若水(상선약수) : 최상의 선은 물과 같다.
☞ 過猶不及(과유불급) : 지나친 것은 오히려 모자라는 것과 같다.
☞ 學問如逆水行舟(학문여역수행주) : 학문은 마치 물을 거슬러 나아가는 배와 같다.
* 비교급 : 不如, 不若 < ~만(같지) 못하다. >
☞ 百聞而不如一見(백문이불여일견) : 백번 듣는 것이 한번 보는 것만 못하다.
☞ 曾不若孀妻弱子(증불약상처약자) : 마침내 과부와 어린애보다도 못하다.
* 최상급 : 莫如, 莫若 < ~만한(~만 같은) 것이 없다. >
☞ 至樂莫如讀書(지락막여독서) : 지극한 즐거움은 독서만한 것이 없다.
☞ 知子莫若其父(지자막약기부) : 자식을 아는 것은 그 아버지만한 이가 없다.
다. 선택적 관용구가 쓰이는 경우
* 與其 A 寧 B : A보다는 차라리 B한다. <B선택>
☞ 禮與其奢也寧儉( 예여기사야영검) : 예는 사치스러운 것보다 오히려 검소한
것이다.
* 與其 A 不若(不如) B : A하는 것이 B하는 것만 못하다. <B선택>
☞ 吾與其富而畏人 不如貧而無屈(오여기부이외인 불여빈이무굴) : 나는 부자로
남을 두려워하는 것이 가난하지만 굽힘이 없는 것만 못하다.
* 與其 A 孰若 B : A에 대하여 누가 B만 같으리오<B선택>
☞ 與其生辱 孰若死快(여기생욕 숙약사쾌) : 욕되게 살기보다는쾌히
죽는 것이 좋다.
* 寧 A 勿(無) B : 차라리 A할지언정 B하지 말라. <A 선택>
☞ 寧爲鷄口 無爲牛後(영위계구 무위우후) : 차라리 닭의 입이 될지언정
소의 꼬리는 되지 말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