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문학숙(漢文學塾)/한문문법

27.限定形

주비세상 2010. 9. 17. 10:56

 

(11) 한정형(限定形)

       사물과 행위의 범위나 정도를 한정하는 문형.

 

  가. 한정 부사가 쓰인 경우 : 惟, 維, 唯, 但, 只, 徒 < 오직 >

 

     * 學者所患 有立志不誠(학자소환 유유립지불성) : 배우는 사람이 근심할 것은 오직 뜻을

                                                                                세움에 성실하지 못함이 있을 뿐이다.

     * 在此山中 雲深不知處(지재차산중 운심부지처) : 다만 이 산속에는 있으련만 구름이 깊어

                                                                                있는 곳을 모르겠네.

  나. 한정 종결사가 쓰인 경우 : 耳, 爾, 已, 而已, 而已矣

                             < ~ㄹ 뿐이다. ~ㄹ 따름이다.>

 

     * 求其放心而已矣(구기방심이이의) : 그 잃어버린 마음을 구할 따름이다.

     * 欲便於日用(욕편어일용이) : 날마다 쓰기에 편하게 하고자 할뿐이다.

     * 昭帝立時 年五歲(소제입시 년오세이) : 소제가 즉위하였을 때 나이가 다섯 살이었을 뿐이었다.

     * 夫子之道 忠恕而已矣(부자지도 충서이이의) : 선생의 도는 충서일 뿐이다.

 

  다. 호응구가 쓰인 경우

 

     * 淡泊 是愧(유담박 시괴이) : 오직 담박한 것을 부끄러워할 뿐이다.

     * 不百步 是亦走也(직불백보이 시역주야) : 단지 백보를 가지 않았을 뿐이지

                                                        이 역시 달아난 것이다.

     * 中華 (불독중화야) : 그것은 중국말만 그런 것이 아니다.

 

'한문학숙(漢文學塾) > 한문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29.累加形  (0) 2010.09.17
28.抑揚形  (0) 2010.09.17
26.感歎形  (0) 2010.09.17
25.比較形  (0) 2010.09.17
24.假定形  (0) 2010.09.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