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다운예절/혼례

14. 교배례-서천지례-서배우례-근배례

주비세상 2009. 12. 9. 10:42

 

 

14. 교배례-서천지례-서배우례-근배례

 

 

  1) 교배례:신랑,신부의 상견례

禮順(예순)

笏 記(홀기)

상 황 설 명

 

1

執禮曰 壻婦 初相面 就交拜儀式

(집례왈 서부 초상면 취교배의식)

집례:‘신랑과 신부가 처음 만나 맞절로 인사하는 의식을 치르겠습니다.’

2

壻 阼階下 北向立 婦 西階下 北向立(서 조계하 북향입 부 서계하 북향입)

신랑은 동쪽 계단 아래에 북향해 서고, 신부는 서쪽 계단 아래에 북향해 선다.

3

兩家之親 各坐定席(양가지친 각좌정석)

양가 어른은 각기 정한 자리에 앉는다.

4

兩家慈親 大禮床前 上向立 屈身相禮 壻慈親 點靑燭 婦慈親 點紅燭 又屈身相禮 坐于古處(양가자친 대례상전 상향입 굴신상례 서자친 점청촉 부자친 점홍촉 우굴신상례 좌우고처)

신랑 신부의 어머니는 대례상 앞에 나가 마주서서 예를 표하고, 신랑 어머니는 청초에 신부 어머니는 홍초에 점촉한다.

5

婦執事 布西席於東方 壻執事 布婦席 於西方 壻婦執事交行 左右立(부집사 포서석어동방 서집사 포부석 어서방 서부집사교행 좌우입)

신부집사(女2)는 동쪽에 신랑의 자리를 펴고 신랑 좌우로 가고, 신랑집사(女2)는 서쪽에 신부의 자리를 펴고 신부의 좌우로 선다.

6

壻婦 受執事之助 盥洗手 巾帨(서부수집사지조 관세수 건세)

신랑과 신부는 집사의 도움으로 손을 씻고 수건으로 닦는다.

7

壻西向揖婦, 婦東向答禮(서서향읍부, 부동향답례)

신랑은 서향해 신부에게 읍하고,

신부는 동향해 답례한다.

8

壻昇就東席 婦昇就西席 相向立(서승취동석 부승취서석 상향입)

신랑은 동쪽자리로 올라가고, 신부는 서쪽자리로 올라가서 마주보고 선다.

9

壻婦執事 交行復位(서부집사 교행복위)

시랑 신부 집사는 각각 원자리로 돌아간다.

10

婦先再拜 壻答一拜(부선재배 서답일배)

신부는 먼저 재배하고, 신랑은 한 번 답배한다.

11

婦又再拜 壻又答一拜(부우재배 서우답일배)

신부는 다시 재배하고, 신랑도 다시 한 번 답배한다.

     

  2) 서천지례:천지신명께 서약

 

12

執禮曰 壻婦 于天地神明 就誓儀式

(집례왈 서부 우천지신명 취서의식)

집례:‘신랑과 신부가 천지신명에게 서약하는 의식을 치르겠습니다.’

13

壻揖婦 西向立 婦答禮 東向立(서읍부 서향입 부답례 동향입)

신랑은 신부에게 읍하고 서향해 서고, 신부는 답례하고 동향해 선다.

14

壻婦左執事 授盞盤于壻婦 右執事 斟酒(서부좌집사 수잔반우서부 우집사짐주)

각 좌집사는 잔반을 신랑, 신부에게 주고 우집사는 술을 따른다.

15

壻婦 奉盞盤 齊眼誓天 下盞盤 祭酒誓地(서부 봉잔반 제안서천 하잔반 제주서지)

신랑,신부는 잔반을 눈높이로 들어 올려 하늘에 서약하고, 잔반을 내려 바닥에 좨주해 땅에 서약한다.

16

壻婦左執事 受盞盤 置于古處 壻婦擧肴 置于古器(서부좌집사 수잔반 치우고처, 서부거효 치우고기)

각 좌집사는 잔반을 받아 원자리에 놓고, 신랑, 신부는 안주를 집어 들었다가 그냥 놓는다.(안주:묵)

 

  3) 서배우례:배우자에게 서약

 서

 배

 우

 례

 

 

 配

 偶

 禮

 

 

 

 *

 

 남

 식

17

執禮曰 壻婦 于配偶者 就誓儀式

(집례왈 서부 우배우자 취서의식)

집례:‘신랑과 신부가 배우자에게 서약하고, 받아들이는 의식을 치르겠습니다.’

18

壻婦 左執事 授盞盤于壻婦 右執事 斟酒(서부 좌집사 수잔반우서부 우집사 짐주)

각 좌집사는 잔반을 신랑,신부에게 주고, 우집사는 술을 따른다.

19

壻婦 奉盞盤 齊心 誓配偶 半啐飮 授盞盤 右執事(서부 봉잔반 재심 서배우 반쵀음 수잔반 우집사)

신랑,신부는 잔반을 가슴높이로 받들어 올려 배우자에게 서약하고, 술을 반쯤 마신 다음 우집사에게 준다.

20

壻婦 右執事 授盞盤 壻右執事 上靑紅絲 授婦右執事 婦右執事 下靑紅絲 授壻右執事(서부 우집사 수잔반 서우집사 상청홍사 수부우집사 부우집사 하청홍사 수서우집사)

각 우집사는 잔반을 받아서 신랑 우집사는 청실홍실 위로 잔반을 신부측 우집사에게 건네고, 신부 우집사는 청실홍실 아래로 잔반을 신랑측 우집사에게 건네준다.

21

壻婦 右執事 授盞盤于壻婦(서부 우집사 수잔반우서부)

각 우집사는 잔반을 신랑 신부에게 준다.

22

壻婦 奉盞盤 齊心 諾誓 飮畢 授盞盤于左執事(서부 봉잔반 제심 낙서 음필 수잔반우좌집사)

신랑, 신부는 잔반을 가슴높이로 받들어 올려 배우자의 서약을 받아들이고, 남은 술을 마신 다음 잔반을 좌집사에게 준다.

23

壻婦 左執事 置于古處(서부 좌집사 치우고처)

각 좌집사는 잔반을 원자리에 놓는다.

   

  4) 근배례:표주박잔을 합치는 의식

 근

 

 배

 

 례

 

 

 

 

 杯

 

 禮

24

執禮曰 巹杯 二分合一 就儀式

(집례왈 근배 이분합일 취의식)

집례:‘하나의 표주박이 두 개로 나뉘었다가 하나가 되는 의식을 치르겠습니다.’

25

壻婦 左執事 同窂床之盞 下置卓上 壻婦 右執事 就巹杯 分置于壻婦之前 同窂床盤上(서부 좌집사 동로상지잔 하치탁상 서부 우집사 취근배 분치우서부지전 동로상반상)

각 좌집사는 동로상(同窂床)의 잔을 상 위에 내려놓고, 각 우집사는 대례상 위의 표주박잔을 나누어 동로상 잔대 위에 놓는다.

26

壻婦 左執事 授巹杯于壻婦 各右執事 斟酒 于巹杯(서부 좌집사 수근배우서부 각우집사 짐주 우근배)

각 좌집사는 표주박잔을 들어 신랑,신부에게 주고, 각 우집사는 표주박잔에 술을 따른다.

27

壻婦 擧巹杯 飮畢 授于左執事(서부 거근배 음필 수우좌집사)

신랑, 신부는 표주박잔을 들어 술을 마시고, 표주박잔을 좌집사에게 준다.

28

壻婦左執事 授盞盤 置于古處 各右執事 取巹杯 合置于巹杯卓上(서부좌집사 수잔반 치우고처 각우집사 취근배 합치우근배탁상)

각 좌집사는 잔반을 원자리에 놓고, 각 우집사는 표주박잔을 대례상 위에 합쳐 놓는다.

29

執禮曰 分置 巹杯合一(집례왈 분치 근배합일)

집례:‘나누어졌던 표주박이 하나가 되었음을 선포합니다.’

30

壻揖婦 婦答禮(서읍부 부답례)

신랑은 신부에게 읍하고 신부는 신랑에게 답한다.

31

壻婦 出就他室(서부 출취타실)

신랑과 신부는 각기 다른 방으로 나아간다.

  필

   

  례

 

  선

 

  언

32

執禮曰 以上 某之子某 某之女某 終婚姻式(집례왈 이상 모지자모 모지여모 종혼인식)

집례:‘이상으로 ◯◯◯씨의 ◯남 ◯◯군과 ◯◯◯씨의 ◯여 ◯◯양의 혼인식을 모두 마치겠습니다.’

 

 

 

'아름다운예절 > 혼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15.우귀(于歸)와 폐백 음식  (0) 2009.12.10
14-1.전통혼례 시연<동영상>  (1) 2009.12.09
13.초례상 꾸미기  (0) 2009.12.06
12.전안례(奠雁禮)  (0) 2009.12.04
11.초자례와 초녀례  (0) 2009.1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