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 초례청과 초례상 꾸미기
1) 초례청(醮禮廳 또는 大禮廳, 奠雁廳)은 혼인 예식장이다. 2) 대청이나 뜰에 병풍을 동서로 치고 교배상을 한 가운데 놓는다. 3) 세숫대야에 물 두 그릇, 수건걸이와 수건 두 장, 술상 두 상을 준비한다. 4) 상 가운데를 기준으로 남쪽에는 소나무, 북쪽(上位)에는 대나무를 놓는다. (소나무:장수(長壽). 대나무:유호덕(攸好德). 송죽은 변함없는 절개를 의미) 5) 대나무와 소나무 사이를 명주 청실홍실(靑은 夫, 紅은 婦) 다섯 가닥(五福)으로 연결한다. 명주실은 질기고 윤기가 나므로 영원히 행복하게 살라는 의미이다. 6) 초례상 동쪽(신랑측)에는 안이 붉고 겉은 푸른 겹보로 싼 수탉(雄鷄)과 쌀(食福)과 대추(만물이 소생하는 아침을 의미함)를 놓는다. 7) 초례상 서쪽(신부측)에는 안이 푸르고 겉은 붉은색으로 된 겹보로 싼 암탉(雌鷄)과 밤과 감을 놓는다. 암탉은 음(陰)이며 신부를 뜻한다. 밤과 감은 고종명(考終命)의 상징으로 좋은 품성을 가진 자식이 많이 태어나기를 바라는 의미이다. 8) 초례상 차림은 남북으로 일렬 또는 이렬로 진설하며 지방마다 다를 수 있다.
※ 닭을 올리는 의미는 계오덕(鷄五德)에 있다. 전요가 노나라 애공왕에게 한 말에서 유래되었다. 즉 문(文:벼슬), 무(武:발에 달린 며느리발톱), 용(勇:싸울 때 용맹), 인(仁:먹이를 보면 서로 함께 불러 먹음), 신(信:새벽에 때를 알림)이다.
* 지방에 따라 초례상 차림이 차이가 있음.
|
'아름다운예절 > 혼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14-1.전통혼례 시연<동영상> (1) | 2009.12.09 |
---|---|
14. 교배례-서천지례-서배우례-근배례 (0) | 2009.12.09 |
12.전안례(奠雁禮) (0) | 2009.12.04 |
11.초자례와 초녀례 (0) | 2009.12.03 |
10-1.혼함 보내고 받기 시연<동영상> (0) | 2009.1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