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문학숙(漢文學塾)/한문용어[典故]

98. 六神通(육신통)

주비세상 2025. 4. 28. 10:24

육신통(六神通)이란 불교에서 말하는 부처, 보살, 아라한의 경지에 도달한 수행자들이 수행의 부산물로 얻을 수 있는 여섯 가지 신통력(神通力)을 가리킨다. 불교 경전 중 《아비달마구사론》에서 언급된다. 석가모니 부처님의 10대 제자 중 목갈라나(목련존자)는 신통제일이라 불리며 육신통을 모두 겸비하였다고 전한다.

불교는 육신통을 비롯한 신통력이 존재한다고 긍정하지만, 동시에 신통력에 과도하게 빠짐은 오히려 신통에 집착하여 해탈에서 멀어지는 길이라고 보아 부정적으로 여긴다.

①신족통(神足通)
신족통(⒮ṛddhi, ⒫iddhi)은 마음으로 몸을 만들 수 있거나 사라지게 할 수 있고 벽 등을 통과할 수 있고, 물 위를 걸을 수 있고 하늘을 날 수 있는 능력 등을 가리킨다. 신족통을 갖추고 있으면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고 묘사되고 있다.

②숙명통(宿命通)
숙명통(⒮pūrvanivās-ānusmṛti, ⒫pubbenivasanusati)은 전생을 기억해 낼 수 있는 능력이다. 전생에 어느 곳에서 무엇을 했으며 부모 형제가 누구였는지 등을 기억해 낼 수 있는 능력이다. 숙명통에 뛰어난 자는 헤아릴 수 없는 과거의 생을 기억해 낼 수 있다고 한다.

③천안통(天眼通)
천안통(⒮divya-cakṣus, ⒫dibbacakkhu)은 보통 사람들이 볼 수 없는 것을 볼 수 있는 능력이다. 중생들이 자신의 지은 업에 따라 태어나고 죽는 것을 볼 수 있는 능력이다. 선업을 지은 중생은 좋은 곳에 태어나고 악업을 지은 중생은 나쁜 곳에 태어나는 것을 볼 수 있는 능력이다. 사람의 눈으로는 볼 수 없는 것을 보는 신통력이다.

④천이통(天耳通)
천이통(⒮divya-śrota, ⒫dibbasota)은 보통 사람들이 듣지 못하는 소리를 듣는 능력이다. 천상의 소리를 듣거나 아주 멀리 떨어진 곳에서 나는 소리를 들을 수 있는 능력이다.

⑤타심통(他心通)
타심통(⒮cetaḥ=paryāya, ⒫cetopariya)은 다른 사람의 생각이나 마음 상태를 알 수 있는 능력이다. 타인이 어떤 생각을 하고 있는지 어떤 감정을 가지고 있는지를 알 수 있는 능력이다.

⑥누진통(漏盡通)
누진통(⒮āsrava-kṣaya, ⒫asavakkhaya)에서 ‘누’는 번뇌를 의미하며 누진은 번뇌를 모두 소진한 것을 일컫는다. 누진통을 성취한 성인은 고통의 근원이 되는 번뇌를 소멸시켜 고통에서 완전하게 벗어난 상태에 이른 존재이다. 육신통 중에서 가장 특징적인 것은 바로 누진통이다. 누진통을 제외한 다섯 신통은 천신이나 다른 외도도 가능하지만 누진통만은 붓다나 아라한이 가진 신통이며, 이 신통으로 인해 불교의 성인과 범부중생(凡夫衆生) 또는 외도와 구분된다. 경전에 외도나 제석천 등 천신도 5가지 신통을 부릴 수 있지만 누진통은 오로지 불교 성인만이 획득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나무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