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다운예절/상례

10.치장(治葬)<2> / 묘지 조성, 참파축

주비세상 2010. 8. 15. 10:27

 

 

(5) 묘지 조성과 참파축(斬破祝 / 개토축(開土祝))


 묘자리가 정해지고 장사 지낼 날짜가 정해지면 영역(산소)에 산역을 시작하는데 산역 시작 전에 토지신에게 개토제(開土祭)를 지낸다.

 개토제를 지내는 사람은 복인이 아닌 사람으로 평상복으로 지내고 개토제의 제수는 술, 과일, 포를 차리며, 개토제 지내는 장소는 묘지 예정지의 동북쪽에 제단을 마련하여 제수를 차리고 지낸다.

 토지신의 신은 지하에 있으니까 분향을 않고 뇌주(酹酒 : 술을 땅에 부어 강신한 후 재배)하고 참신, 헌주, 정저하고 독축, 하저(下箸)한 다음 사신하는 순서로 지낸다.


  참파산신축(男喪斬破山神祝)

 

   유세차병인팔월신해삭초육일병진 유학의성김동오

   維歲次丙寅八月辛亥朔初六日丙辰 幼學義城金東五

   감소고우

   敢昭告于

 토지지신 금위학생안동권공 영건택조

 土地之神 今爲學生安東權公 營建宅兆

 신기보우 비무후간 근이 청작포과 지천우  신 상

 神其保佑 無後艱 謹以 淸酌脯果 祗薦于  神 尙

 향

 饗

 

 유세차 병인 8월 6일 유학 의성 김동오는 토지신께 감히 고하나이다.

 이제 이곳에 학생 안동 권공의 묘를 쓰게 되오니 토지신께서 보호하고 도우셔서 뒤에 어려움이 없도록 하여 주시기를 바라옵고 삼가 맑은 술과 포과를 올리오니 흠향하옵소서


   ․ 주인(主人) 또는 친족(親族) 복인(服人) 중에서 고(告)한다. 장일(葬日) 전일(前日)에 고하되 당일에 고할 때는 참파전(斬破前)에 고한다.

   ․ 구묘(舊墓)와 봉사자(奉仕者)와의 관계에 따라 관계호칭을 쓴다.

   ․ 봉사자와의 관계를 쓰되 모상(母喪)이면 유인모관모씨(孺人某貫某氏)라 쓴다.

   ․ 처사 대신 학생 또는 관직(官職)이 있으면 그 직명을 쓰고, 만약 오대조모면 오대조비(五代祖妣)라 하고 봉호(封號)가 있으면 그 봉호(封號)를 쓴다.

   ․ 묘 오른쪽이면 묘우(墓右)라 쓰고 묘 왼쪽이면 묘좌(墓左)라 한다.

■ 개토시 산신축문 ■

 유세차 ○○○○년    월    일 유학 김성규는

토지신께 감히 고하옵나이다.

이제 김동수의 아버님 ○○면장 김해김공(어머님 파평윤씨)의 무덤을 지으려 하오니 신께서 보살펴 어려움이 없게 하여 주소서.

삼가 술과 제수를 차려 정성을 다해 받들어 올리오니 흠향하옵소서.

  * 전통축문은 세로로 썼으나 편집의 편의를 기하여 가로로 하였다.

    그러나 수축(修祝)할 때 종서로 쓸 수 있다. 횡서로 쓴 축문도 문제점

   은 없다.

  * 한글축문은 고어문체로 쓸 수도 있고 현대문체로 쓸 수도 있다.

자료:李茂永:한국가정의례<한국예절대학>

 

 

'아름다운예절 > 상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치장(治葬) <4> / 노전(路奠)|  (0) 2010.08.15
11.치장(治葬) <3> / 광중(壙中)  (0) 2010.08.15
9.치장(治葬) <1>발인  (0) 2010.08.15
8.부의  (0) 2010.08.15
7-1.弔問試演동영상  (0) 2010.07.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