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제례 기구의 종류
1) 앙장〔仰帳:역막帟幕〕: 제례 장소의 천정에 치는 포장. 노천 제의 때는 차일(遮日:天幕)을 치고, 반자를 한 실내에서는 안 침. 2) 위패함(位牌函․櫝) : 조상의 위패를 모시거나 붙이는 장치. 3) 병풍(屛風) : 위패(지방)를 경건히 둘러 세우는데 8폭 병풍을 침. 8폭 병풍은 사주팔자, 팔복전(八福田)을 의미하며 병풍을 친 쪽이 북쪽. 4) 교의(交椅) : 위패를 모시는 의자. 5) 제상(祭床) : 제례 음식을 차리는 상. 크기는 150cm×90cm 정도. 6) 면지(面紙) : 제상 위에 까는 종이나 천. 7) 향상(香床:香案) : 향로와 향합을 올려놓은 상으로 20cm×40cm 정도. 8) 주가(酒架) : 병, 주전자, 퇴주기를 올려놓는 상. 9) 소탁(小卓) : 강신용 뇌주 잔반을 올려 놓고 위패를 교의에 모시기 전에 대기시키는 상. 10) 자리[席] : 제례 장소의 제주가 절하는 곳에 깜. 11) 대상(大床) : 제상에 올리기 전의 제례 음식을 대기시키는 상으로 제상의 3분의 1 정도의 크기. 12) 쟁반[小盤] : 제례 음식을 운반하는 상. 13) 축판(祝板) : 축문을 올려놓고 읽는 판자. 20㎝×30㎝ 정도. 14) 관분(盥盆) : 제례를 행하거나 음식을 다루는 사람들이 손을 씻는 대야. 15) 촛대(燭臺) : 초를 꽂는 기구. 16) 향로(香爐) : 향불을 담는 그릇. 17) 향합(香盒) : 향을 담아 놓은 그릇. 18) 모사기(茅沙器) : 빈 그릇에 모래를 담고 띠풀[모(茅)] 한 줌을 약 16㎝의 길이로 잘라 붉은 실로 묶은 다음 띠 묶음의 밑 부분을 모래에 세워 심어 땅을 상징. 묘지에서 지낼 때는 필요 없음. 19) 지필연묵(紙筆硯墨) : 종이, 붓, 벼루, 먹. 20) 시접(匙楪) : 시저를 담는 그릇. 21) 시저(匙箸) : 숟가락과 젓가락. 22) 잔반(盞盤) : 받침대에 받친 술잔. 23) 면기(麵器) : 국수 건더기를 담는 그릇. 24) 편틀[餠楪] : 떡을 괴는 4각 접시로 1변이 21cm 정도의 정4각형 25) 소접(小楪) : 설탕, 소금, 겨자 등을 담는 작은 접시. 직경 8cm 정도. 26) 탕기(湯器) : 찌개[湯]를 담는 그릇. 덮개가 있고 직경 12cm 정도. 27) 적틀[炙楪] : 구이[炙]를 담는 4각 접시. 18cm×30cm 정도의 직사각형. 28) 전접(煎楪) : 부침개[煎]를 담는 둥근 접시. 직경 18cm 정도. 29) 숙채접(熟菜楪) : 나물을 담는 둥근 접시. 직경 18cm 정도. 30) 과접(果楪) : 과실을 괴는 둥근 접시. 직경 15cm 정도. 31) 주전자[注酒] : 술을 잔에 따르는 기구. 32) 퇴주기(退酒器) : 제상에서 퇴한 술을 모아 놓는 빈 그릇.
|
'아름다운예절 > 제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제삿상 차리는 법 (0) | 2009.12.26 |
---|---|
10.표준제수와 조리법 (0) | 2009.12.24 |
8. 신주와 가묘 (0) | 2009.12.23 |
7.제사의 종류 (0) | 2009.12.21 |
6.虞祭祝文 내용조견표 (0) | 2009.1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