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문학숙(漢文學塾)/선비메일함

79.문중, 종중, 종친에 대하여

주비세상 2016. 10. 1. 20:18

 

문중, 종중, 종친에 대하여

 

 

 

선비님, 안녕하세요?

 

한문반에서 몇 분의 선비님이 문중과 종중에 대한 범위에 대해 궁금해 하셔서, 제가 인터넷검색을 해보았습니다. 혹시 참고가 될까싶어서 보냅니다.

 

 

 

국어사전에서

 

* 종중~() 같고 () 같은  겨레붙이의 문중.

 

* 문중~성과 본이 같은 가까운 집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에서

 

종중(宗中)이라고도 하며 자손이 포함되는 범위에 따라 대문중(大門中파문중(派門中소문중(小門中)으로 구분짓기도 한다.대문중은 동성동본의 혈족인 모든 사람을 포함하며파문중은 중시조를 중심으로 하고소문중은 일정지역의 입향조(入鄕祖)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다 문중의 범위와 기능은 조상숭배의식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문중원들이 모두 모이는 총회   조직체를 문회(門會), 또는 화수회(花樹會) 한다.

 

 

 

법률용어사전에서

 

 공동선조의 분묘의 보존제사의 이행종원(족인)간의 친선 · 구조  복리증진을 도모하는 권리능력없는 사단인 가족단체를 말한다일종족 전체를 총괄하는 대종중 안에 대소의 분파에 따른 종중이 있는데지류종중을 일컬어 문중이라고 한다.

 

 

 

어느 블로그님의 정리에서

 

 * 씨족 (성씨)+(;겨레족)[명사성씨가 같은 겨레붙이=

 

                <사회공동의 조상을 가진 혈연 공동체.

 

 * 종중 (;한겨레 )+(;가운데 )[명사() 같고 () 같은 

 

            겨레붙이의 문중.

 

 * 문중 (;집안 )+(;가운데 )[명사성과 본이 같은 가까운 집안.

 

    

 

  같은 혈족중에서 촌수가 가까운 겨레붙이 순으로 보면,

 

1.문중(가까운 친척)

 

2.종중(시제를 같이 지내는  친척을 포함)

 

3.씨족(족보상 시조로 부터 30~50대손 이상의 자손들 모두)

 

 

 

우리 한자어 1000가지저자 이재운 외 에서

 

1.종친의 본 뜻

 

  * 종() - 왕의 동성(同姓)을 종()이라고 한다. 종이 친보다 넓은 개념이다.

 

  * 친() - 왕의 부계(父系)를 친()이라고 한다. 친이 종보다 좁은 개념이다.

 

2.종친의 범위

 

  종친이라고 할 때 그 범위는 왕의 친족으로 촌수가 가까운 자를 가리킨다. 대군(大君)의 자손은 4대손까지를, 왕자군(王子君)3대손까지를 종친으로 예우했다.

 

 

 

3.종친부(宗親府)

 

조선시대 1430(세종 12) 11월에 재내제군부(在內諸君府)를 승격해 정1품아문으로 정했으나 직사(職事)는 없었다. 1894(고종 31) 6월에 종정부(宗正府)로 개정했는데, 왕실 및 종친에 관련된 모든 일을 관장했다.

 

 

 

4.바뀐 뜻

 

오늘날에는 왕가에만 해당하는 말은 아니고 한 일가로서 촌수가 가까운 관계를 말하는데, 흔히 10촌 이내를 말한다.

 

 

 

정리- 주비 생각

 

   가장 작은 단위부터 정리하면 대체로  가족가문(家門)문중(門中)종중 ( 宗中) 씨족 으로 짐작되나. 단어의 의미를 참고할 때, 이들 범위를 비교하기는 어려운 것으로 보입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강성무 올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