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문학숙(漢文學塾)/한문용어[典故]

119.池魚之殃(지어지앙)

주비세상 2025. 6. 28. 10:49

이 성어는 '못에  사는 물고기의 재앙'으로 풀이된다. 숨은 의미는 '아무 상관도 없는데 뜻밖에 연못의 물고기가 재앙을  당한다'는 뜻을 품고 있다.

이 말의 典故(전고)는 진(秦)나라의 재상(宰相) 呂不韋(여불위)의 ‘呂氏春秋(여씨춘추)’에 실려 전하는 이야기이다.
춘추시대 宋(송)나라에 대부였던 桓魋(환퇴)라는 사람이 있었다. 성이 向(향)이어서 向魋(향퇴)라고도 하는 그는 孔子(공자)의 제자 司馬牛(사마우)의 형이기도 하다. 
그런데 큰 나무 아래에서 예를 가르치던 공자를 해치려고도 한 망나니였다. 환퇴가 어느 때 천하에서 가장 진귀한 보석을 지니게 됐다. 
소문을 들은 송나라 왕이 보석을 차지하려는 욕심이 있었지만 환퇴가 줄 리 없었다. 그러던 중 환퇴가 죄를 지어 종적을 감췄다. 
보석의 소재가 궁금했던 왕은 사람을 시켜 감춰 둔 곳을 알아오게 했다. 
‘도망할 때 궁궐 앞 연못 속에 던져버렸다'는 보고를 들은 왕은 즉시 연못의 물을 모조리 퍼내고 보석을 찾아내게 했으나 아무것도 구하지 못하고 못 속의 물고기만 모조리 말라죽고 말았다. 

유사한 한자어로 殃及池魚(앙급지어:성문(城門)에 난 불을 끄려고 못의 물을 전부 퍼 온 탓으로 그 못의 물고기가 말라죽었다.), 橫來之厄(횡래지액:뜻밖에 당하게 되는 재난이나 액운)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