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내용은 회원 질의에 대한 답글입니다.
풍수지탄(風樹之嘆)의 어원
풍수지탄(風樹之嘆)에 대한 이야기는 韓婴(한영)이 지은 시경(詩經)의 해설서인 한시외전(韓詩外傳) 9권과 공자가어(孔子家語)의 치사편(致思篇)에 나와 있답니다. 이야기의 주인공인 皐魚(고어)와 丘吾子는 동일 인물로 본답니다.
* <原文>
孔子出行,聞有哭聲甚悲。
孔子曰:“驅之驅之,前有賢者。”
至,則臯魚也被褐擁鎌,哭于路旁。
孔子辟車與之言:“子非有喪,何哭之悲也?”
臯魚曰:“吾失之三矣!吾少而學,周遊天下,
以殁吾親,失之一也。
高尚吾志,簡吾事,不事庸君,失之二也。
與友厚而中絕之,失之三矣。
夫樹欲靜而風不止,子欲養而親不待。
往而不可追者,年也;去而不可得見者,親也。
吾請從此辭矣!”立槁而死。
孔子曰:“弟子誡之,足以識矣!”
于是門人辭歸養親者十有三人。
* <원문 해설>
공자가 출타하였다가, 슬피 우는 소리를 들었다.
공자가 말하기를,
“수레를 빨리 몰아라, 수레를 빨리 몰아라, 앞에 현인이 있다!”
이르러 보아하니 고어였는데 몸에는 베옷을 걸치고 손에는 낫을 들고 있으면서 길가에서 통곡을 하고 있었다. 공자가 수레에서 내려 고어에게 말하기를,
“그대는 집안에 상을 당한 것도 아닌데 어찌하여 곡소리가 이처럼 슬픈 것인가?”
고어가 말하기를,
“저에게는 세 개의 과오가 있습니다. 젊을 때 배움을 좋아하여, 각국의 제후국을 주유하였으나, 부모님을 돌보지 못하였으니, 이것이 첫 번째 과오입니다. 저의 포부는 고상하여 큰 사업을 도모하고자 하면서 평범한 군주는 섬기려 하지 않고 허송세월만 하였으니, 이것이 두 번째 과오입니다. 저는 친구와 사귀면서 우정이 매우 깊었는데, 모두 중단하였으니, 이것이 세 번째 과오입니다. 대저 나무는 고요하게 있고 싶어 하나 바람이 그치지 않고, 아들은 부모님에게 봉양하려 하지만 부모님은 이미 계시지 않습니다. 가버린 것을 다시 쫓을 수 없는 것이 세월이며, 세월이 흘러가면 다시는 볼 수 없는 것이 부모님입니다. 제가 여기서 세상과 이별하게 하여 주십시오.”
그리하여 서서 움직이지 않다가 시들시들 죽음에 이르렀다. 공자가 제자들에게 말하기를,
“너희들은 마땅히 경계로 삼아야 하며, 이 일을 충분히 체험하였으니 어떻게 해야 하는 것인지를 알았을 것이다.”
그리하여, 13명의 문도들이 공자와 작별을 하고 부모를 부양하러 집으로 돌아갔다.
* 윗글에서 풍수지탄에 대한 구절을 뽑으면
夫樹欲靜而風不止 무릇 나무는 고요하고자 하나 바람이 그치지 않고,
子欲養而親不待 자식은 봉양하고자 하나 부모님은 기다려 주시지 않는다.
往而不可追者年也 지나가면 쫓을 수 없는 것이 세월이요,
去而不見者親也 돌아가시면 볼 수 없는 것은 부모님이시다.
* 고어[ 皐魚 ]
중국 초(楚)나라의 효자. 고어는 배우기를 좋아하여 천하를 두루 다녔는데, 어버이가 돌아가시자, “나무는 조용히 하려고 했지만 바람이 멈춰 주지 아니하고, 자식은 봉양하려고 했지만 어버이가 기다리지 않는다. 지나가면 돌이킬 수 없는 것이 세월이고, 돌아가면 따를 수 없는 것이 어버이이다.”라고 슬퍼하고서 곡(哭)하다가 죽었다고 함. 이 고사를 공자가 제자들에게 전하면서 경계시키자, 이에 감동하여 고향에 돌아가 어버이를 봉양하는 제자가 13인이나 되었다고 함.
[유사어] 풍목지비(風木之悲). (주비세상)
'한문학숙(漢文學塾) > 선비메일함' 카테고리의 다른 글
48. 우리나라의 姓氏別 인구 (0) | 2014.05.10 |
---|---|
47. 중국 역사의 흐름 (0) | 2014.04.29 |
45. 月別 異稱 (0) | 2014.04.17 |
44. 큰수와 작은수의 단위와 갖은자 (0) | 2014.04.17 |
43. 列聖御筆十二編 (0) | 2014.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