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다운예절/제례

17.묘사 절차

주비세상 2010. 1. 5. 12:34

 

 

 17. 묘사 절차(개인)

 

          * 묘사를 묘제, 세일사, 시사, 시향이라고도 한다. 

순서

절 차

해 설

무축묘사

1

참사자서립

(參祀者序立)

모든 참사자는 묘소 앞에 나아가 제자리에 선다.

참사자서립

2

진설(進設)

제수를 진설한다.

진설

3

강신(降神)

초헌관은 꿇어앉아 세 번 향을 사르고 난 후 서집사가 잔반을 초헌관에게 주면 동집사가 술을 따른다. 헌관이 땅에 세 번 지우고 난 빈 잔을 서집사가 받아 원래의 자리에 올린 다음 초헌관은 재배한 후 제자리에 간다.

강신

4

참신(參神)

모든 참사자가 재배한다.

참신

5

초헌(初獻)

초헌관이 묘위 앞에 나아가 꿇어앉으면 서집사가 잔을 초헌관에게 내려 주면 동집사는 술을 따른다. 초헌관은 잔을 받아 정성껏 받든 잔을 서집사가 받아 원래의 자리에 올리고 정저한다.

헌주

(無祝單獻)

6

독축(讀祝)

축관은 초헌관의 왼편에서 동향해 꿇어앉아 독축한다. 이때 초헌관 이하 모든 참사자는 부복한다. 축관은 독축이 끝나면 제자리로 가고 참사자는 일어서고 초헌관은 재배 후 자리로 돌아간다.

7

아헌(亞獻)

초헌과 같이 하되 독축은 없다.

8

종헌(終獻)

아헌과 같이 한다.

9

정저(正箸)

술 이외의 제수를 흠향하시도록 정저한 후 참사자는 

2~3분 동안 부복이나 국궁 한 후 바로 선다.

정저

10

하시저

(下匙箸)

수저를 내린다.

하시저

11

사신(辭神)

참사자 모두 신위께 재배한다.

사신

12

철찬(撤饌)

집사자가 제수를 물리고 독축자는 축문을 불사른다.

철찬

13

음복(飮福)

제수를 먹으며 조상의 음덕을 기린다.

음복

자료:李茂永:한국가정의례<한국예절대학>

 

 

'아름다운예절 > 제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19.묘제 집사 분정  (0) 2010.01.06
18.문중 묘사 절차 (홀기-한문,한글)  (0) 2010.01.06
16.기제와 차례의 차이점  (0) 2010.01.04
15.명절 차례 올리기  (0) 2010.01.03
14.기제 상식  (0) 2010.0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