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한어의 짜임(2)
(6) 대립(상대)관계 뜻이 서로 반대 또는 상대되는 한자끼리 연이어 결합된 한자어의 짜임. < ~와(과) ~, ~고 ~ >
가. 명사의 결합 陰↔陽(음양), 上↔下(상하), 男↔女(남녀), 古↔今(고금), 前↔後(전후)
나. 동사의 결합 出↔入(출입), 賣↔買(매매), 往↔來(왕래)
다. 형용사의 결합 哀↔歡(애환), 黑↔白(흑백), 大↔小(대소)
(7) 대등관계 어의적 격조가 대등한 한자끼리 결합하여 독립된 복합어.
山-川(산천), 父-母(부모), 夫-婦(부부), 兄-弟(형제), 子-女(자녀), 忠-孝(충효), 內-外(내외), 仁-義(인의)
(8) 결합관계 어의가 다르거나 관계없는 두 개의 글자가 결합하여 새로운 뜻을 가지는 성어.
春 + 秋 (춘추 : 나이, 연세, 역사) 琴 + 瑟 (금슬 : 부부 사이가 화락함) 光 + 陰 (광음 : 세월) 秋 + 毫 (추호 : 매우 작은 것) 矛 + 盾 (모순 : 말의 앞뒤가 맞지 않음) 白 + 眉 (백미 : 여럿 중 가장 뛰어난 것) 秋 + 夕 (추석 : 한가위)
(9) 첩어관계(疊語關係) 같은 글자가 겹쳐져 뜻을 강조시켜 주는 합성어.
가. 의성어(擬聲語) 王王(왕왕 : 개 짖는 소리) 活活(활활 : 콸콸 흐르는 소리) 喔喔(악악 : 닭 우는 소리) 暿暿(희희 : 웃는 소리)
나. 의태어(擬態語) 落落(낙락 : 크고 우뚝한 모양새) 深深(심심 : 아주 깊은 모양새) 紛紛(분분 : 어수선한 모양새) 堂堂(당당 : 의젓한 모양새) 平平(평평 : 반반한 모양새)
다. 이중첩어(二重疊語) 正正堂堂(정정당당 : 태도나 수단이 공정하고 떳떳함) 時時刻刻(시시각각 : 시각마다) 三三五五(삼삼오오 : 너댓 명씩 짝을 짐) 家家戶戶(가가호호 : 집집마다)
※ 1. 병렬관계:유사·대립·대등·결합·첩어관계 등을 말하는 것으로 이들의 관계는 반드시 같은 품사끼 리만 결합된다. 2. 주술·수식·병렬관계는 어순이 우리말과 같다. 우리말과 어순이 반대인 것은 오직 술목관계와 술보관계 뿐이다.
|